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빗자루
비율
상심
슬픔
설움
애상
애도
d라이브러리
"
비
"(으)로 총 2,68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논문으로 작성한 것이다.매사에 열정적인 성계 군에게 마지막으로 ‘과학고’를 준
비
하는 학생들을 위한 조언을 부탁했다.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는 아마 스스로 가장 잘 알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생각만 하기 쉽죠. 여러분은 절대 거기서 멈추지 마세요. 내가 해야 할 것을 실천하는 데 ... ...
뚱뚱하면 뇌 줄어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허리둘레가 커질수록 뇌는 작아진다는 연구가 나왔다. 미국 뉴욕 의과대 안토니오 콘
비
트 교수팀은
비
만이 뇌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고 ‘뇌과학저널’에 20 ... 뇌 신경세포가 적으면 같은 만족감을 느끼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양을 먹는다”며 “
비
만의 악순환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욕망이 점점 커져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얼굴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간혹 텔레
비
전에서도 웃음소리가 들리는데 눈과 입 꼬리가 전혀 변하지 않거나, 코가 미간이 아닌 이마 한가운데에서 솟기 시작하는 몇몇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나이를 알 수 없을 만큼 주름 하나 없이 탱탱한 얼굴, 이마와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공기가 들어가면 갑자기 수돗물 수압이 세지며 뿌옇게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비
슷한 원리다.마이크로 버블은 거품의 크기가 작아 표면적이 넓다. 또 음전하를 강하게 띠기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끌어당기는 힘이 세다. 때문에 사과뿐 아니라 매실처럼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과일이나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과학자 가운데 가장 드라마틱한 삶을 산 사람은 누구일까. 스위스 특허사무실의 무명 직원에서 상대성이론을 발표해 일약 세계 최고의 물리학자 ... 나눠져 있는게 아니라 때와 장소에 따라 전혀 다른 작용을 할 수 있다는 발견은 생명체가 신
비
한 존재임을 또 다시 증명하는 사례가 아닐까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보통 지구공학 해결책들의
비
용이
비
싸지 않다고 말한다.하지만 어느 누구도 완벽하게
비
용에 관해 연구하지 않았다. 추정일 뿐이다.15 상업적인 목적만일 지구공학 기술로 이득을 얻는 개인이나 회사, 또는 정부가 있다면 지구공학 기술을 멈추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16 군사 목적미국은 원래 ... ...
아름다운 무지개다리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무지개에 관심을 뒀다. 그는 수학을 이용해 빛이 물방울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설명해 신
비
의 대상이었던 무지개에 대한 연구를 단순화시켰다. 물방울의 위쪽으로 들어가는 빛은 굴절한 뒤 물방울과 공기의 경계면에서 반사됐다가 다시 굴절되어 나온다. 이때 빨간색 빛은 처음 빛과 42°, 보라색 ... ...
Part1. 왜지구 공학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병행하자는 겁니다. 2009년 영국 학술원에서는 지금까지 나온 지구공학 아이디어를 효과,
비
용, 시간, 안전성에서 분석하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를 함께 보면서 새로운 대책을 세워보는 건 어떨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Part1. 왜지구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온난화를 방지하고 구름의 냉각효과만 남기려면 대기 상층에 응결핵을 더 뿌려 권운을
비
로 만들어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Part1. 왜지구 공학인가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 ...
Part 2-2. 지금의 시계가 있기까지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서로 맞물려 돌아가니 톱니 수에
비
례해 회전수가 정해지는 거야.여기서 만약 톱니 수의
비
가 3 : 2라면 톱니바퀴의 회전수는 2 : 3이되는 거야. 알아두면 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거야.요즘 사용하는 시계는 예전보다 부품의 크기는 많이 줄어들어 움직임이 작아져 톱니바퀴가 뭉툭해지는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