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d라이브러리
"
세대
"(으)로 총 2,4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죽음을 눈앞에 둔 시간 속에서 현대 물리학의 핵심주제에 대해 간결하게 썼다. 차
세대
과학도들에게 꺼지지 않는 혼과 열정이 담긴 아름다운 유산이 될 것이다.지구를 생각한다한국과학창의재단 기획 | 해나무 | 386쪽 | 1만 3800원지구온난화와 에너지 고갈, 식량 위기, 신종 질병 출현, 물 부족…. ... ...
Part 1. 암호의
세대
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이런 암호가 어떻게 커 왔는지암호의 성장기를 살펴보자고!자리바꾸기를 좋아한 1
세대
암호암호는 비밀을 지키기 위해 당사자들끼리 정한 약속이야. 대부분의 암호는 스테가노그래피와 크립토그래피 두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 스테가노그래피는 원문의 존재 자체를 숨겨 겉으로 보기에 아무것도 ... ...
kipa. 창의인재 육성에 적극 나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될 것아인슈타인은 “상상력은 지식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SF영화에 등장하는 차
세대
기술은 무한한 상상의 장을 열어준다. 영화‘스타 트렉’에서는 공간을 이동하는 우주선이 등장하고, ‘프리퀀시’에는 과거의 아버지와 현재의 아들이 시간을 건너뛰어 무전을 주고받는다. 지금은 영화 속 ... ...
몸속 나노로봇, 돌돌 말리는 디스플레이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유기 메모리는 가격이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저온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어 차
세대
비휘발성 메모리로 주목받고 있다.연구팀이 플렉시블 유기 메모리를 개발하는 데는 꼬박 1년이 걸렸다. 이 교수는 “여러 개의 유기 메모리 소자를 무기 소자인 트랜지스터와 연결해 정상적으로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대신 혼자 즐길 수 있는 취미를 찾고 있다는 뜻이다.양창순 원장은 “자기애가 강한 젊은
세대
들은 상처받는 걸 두려워한다”며“스스로 인식하지 못하지만 과거에 이성에게 받은 상처나, 경험하지 않았지만 언젠가 받을지모르는 미래의 상처가 두려워 연애를 거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개발해야한다는 숙제도 남아있다.하지만 이들 엔진은 세계 선진국들이 주목하고 있는 차
세대
추진기관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기술경쟁 구도에 따라 곧 가시적인 발전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현재 정 교수의 연구실은 스크램제트 엔진의 축소모형을 설계하고 제작해 비행시험하는 것을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질병진단센터새싹부터 아름드리나무, 고사한 나무 밑동까지 여러
세대
가 어우러져 있는 모습 같다. 벚나무 가지에 붙어 있는 풀 잠자리 알(녹색)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었다. 배율 170배.수영장바이오예술상·초중등부 | 배준영·국과인학교사막 한가운데 만든 수영장은 아닐까. 고둥의 등껍질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4~5년 전과 격세지감을 느낀다. 지난 8월 31일 제주 북동부에 있는 구좌읍 일대 6000
세대
를 대상으로 스마트 그리드 실증단지가 착공됐다. 가정에 스마트 미터가 설치되는 것은 물론 거리에는 전기 자동차를 위한 충전소가 마련된다. 전력의상당 부분을 풍력과 태양광 발전에서 얻는다.완공 목표 ... ...
의학 및 경영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이라면?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많다보면 관련 산업에 투자가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에서도 보건의료산업을 차
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보고 있는 만큼 의료산업의 미래는 밝다.또 앞으로는 의사가 아닌 다양한 분야에서 의료산업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고 있다. 현재 80%가 넘는 병원에서 의사가 아닌 전문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두 곳에서 발견된 0을 의미하는 기호는 단순히 빈 자리를 나타내는 표시에 그쳤고 다음
세대
나 다른 문명에 전해지지 못했다. 결국, 이들은 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이다. 마야인이나 바빌로니아인이 먼저 0이란 개념을 생각해 냈더라도 숫자로서 0을 쓴 것은 바로 인도인이다.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