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2022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 혁신으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말하는 혁신도 다르지 않았다. 정 교수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위해)
우리
가 할 수 있는 최선은 다양한 생각을 모은 다음 이걸 변형해내는 것”이라며 “굉장히 멀리 떨어진 뇌의 영역들이 동시에 활성화할 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했다. 다양한 요소가 모여 부딪히는 순간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시프트바이오의 남기훈 최고과학책임자(CSO)를 만났다. 최고과학책임자(CSO)를 만났다.
우리
몸은 약 30조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매일 3300억 개의 세포가 새로 태어나고 죽는다. 이렇게 많은 세포가 몸이라는 형태를 유지하면서 생존하려면 서로 잘 협업해야 한다. 이때 세포들이 정보 ... ...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과학잡지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관련된 내용을 과학적으로 풀어내는 과정을 통해 입시를 위한 과학 지식만이 아니라
우리
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살아있는 과학을 경험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특집] 브릭 작품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2호
만든 놀이동산을 완성했어요. “토이가 이걸 보면 좋아하겠지?” “분명 좋아하고말고.
우리
다음에는 더 멋진 것도 만들어 보자! 브릭으로 과연 어떤 걸 만들 수 있는지 한번 살펴볼까?”인간과 고양이-집사왔냥집사를 기다렸던 고양이가 다리에 반갑게 몸을 비비는 모습이에요. 다리와 고양이를 ... ...
[특집] “3년 동안 남긴 400쪽 메모의 결실이에요!”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그러다 2017년 제가 밀먼 교수가 있는 테크니온이스라엘공과대에 방문했는데 그때
우리
모두 둘레의 길이가 같을 때 넓이가 최대인 도형을 찾는 ‘등주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이후 함께 연구를 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다 2018년 특수한 공간에서 비눗방울 문제인 가우스 ... ...
BLACK HOLE ・블랙홀의 식습관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정리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BLACK HOLE I 블랙홀의 식습관Part1. 블랙홀씨,
우리
밥 한번 먹죠[인포그래픽] 블랙홀의 지저분한 식습관, 조석교란현상Part2. 블랙홀이 시간차 트림을 ... ...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관측만 늦었던 게 아닐까?혹시 블랙홀은 전파를 방출하고 있었는데, 어떤 이유로
우리
눈에 안 보였던 것은 아닐까. 연구팀은 전파가 방출됐지만 곧바로 관측되진 않았을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했다. 우선 블랙홀 극축을 따라 방출되는 제트가 무언가와 충돌해 방향이 바 뀌었을 경우다. 제트의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만약 내일부터 내가 원하는 대로 인터넷을 쓸 수 없다면? 인터넷에서 보고 싶은 영상을 못 보고, 하고 싶은 말을 하지 못한다면? 1982년 한국 최초의 인 ... 인프라가 되었습니다. 민주적 인터넷 환경을 잘 갖추어 미래 세대에 넘겨줄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증가하고 있다.
우리
의 목표는 350pp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다.DK 브레이킹 바운더리스는
우리
에게 묻는다. 당신은 지구의 위기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변화를 만드는 데 동참하는 슬기로운 사람이냐고. 그 답은 각자가 알고 있다 ... ...
미래세대 해양탐구 프로젝트 I 부산, 청년과 바다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심각성을 알리는 카드뉴스를 제작했습니다. 장재욱 영남중 2학년 학생은 “
우리
가 일주일에 카드 한 장 분량의 미세플라스틱을 먹고 있다는 데 충격을 받아 이를 다른 사람에게도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바다에 풍부한 미세조류로 만드는 바이오연료를 소개하는 조도 있었습니다.청년에게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