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에 대해 서울대 이명균 교수(
천문학
)는“이보다는 충돌로 생긴 구덩이가 지구 대기와 물로 인해 풍화∙침식작용 때문에 충돌 흔적이 사라졌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수성이 지구보다 구덩이가 많은 이유는 지구에는 대기와 물이 존재해 구덩이가 ... ...
북극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돼 문제(3)의 정답은 D가 된다.문제(4)의 정답은 북극에서 모든 방향이 남쪽이기 때문, 즉
천문학
적으로 해가 남쪽하늘에 가장 높이 걸릴 때인 정오를 정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북위 89도 지역에서는 해가 남쪽하늘에 가장 높이 떴을 때를 정오라고 해 아무 문제가 없다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행성들의 거리와 비슷했던 점은 단순한 우연의 결과였던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행성
천문학
자 제라드 카이퍼(1905-1973)는 행성의 질량과 거리를 고려해서 물리적인 근거로 이 수열을 설명하려고 애를 쓰기도 했다.현재는 소행성이 행성에 비해 크기가 작고 자체적인 대기를 갖지 않는 천체로 보통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우리가 NEO를 발견하고 궤도를 계산하며 추적·감시해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천문학
자들이 연구비를 따기 위해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꼭 밝혀두고 싶다.해가 지지 않는 탐사2000년 1월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지구접근천체 추적감시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그 주인공은 ... ...
초승달이 그믐달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서울대 전파망원경 사업을 진두해서 지휘한 서울대 구본철교수(지구환경과학부
천문학
전공)는 서울대 전파망원경에 대해 “외국에서 사온 것이 아니라 박사과정 대학원생 3명이 직접 관여해 만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대학 내에 있기 때문에 실험실습과 같은 용도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 ...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있다.그런데 ‘가니메데’라는 용어는 아무래도 우리에게 편치 않은 외래어다. 그래서
천문학
에 초보인 일반인으로서는 이름을 금새 잊어버리기 쉽다. 가니메데가 목성의 위성인지 토성의 위성인지 혼동스러워질 수도 있다. 그래서 며칠만 지나면 도대체 어디에서 물이 발견됐다는 얘기인지 ... ...
20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의미)로 계산했고 이로부터 우주의 나이는 20억년 가량으로 추정됐다. 그후 여러
천문학
자에 의해 얻어진 허블상수의 값은 계속 바뀌었다. 1956년 미국의 앨런 샌디지는 허블상수를 1백80km/초/Mpc로 계산했으며 그에 따라 우주의 나이는 허블의 계산보다 갑자기 세배나 커지게 됐다. 그후 허블상수의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건설되기 몇천년 전부터 태양, 달, 별, 행성들의 운동을 세밀하게 관측하는 등
천문학
에 고도의 지식을 갖고 있었다. 우선 그들은 매년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나일강의 홍수가 일어나는 날과 큰개 별자리 시리우스별이 1년에 1회 동트기 직전에 나타나는 것을 정확히 탐지해 1년이 3백65.25임을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런 고구려의 천문지식에 대한 뿌리를 제공한다.또한 우리나라의 천문지식이 중국
천문학
의 전래에 의해서만 시작된 것이 아니라 선대의 고유한 천문지식의 전승이 있었다는 하나의 결정적인 증거다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행성이라는 사실이 굳어지자 이 행성에 이름을 붙이는 일이 남아 있었다. 프랑스의 어느
천문학
자는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허셜’로 하자고 제안했고 독일의 보데는 ‘우라누스’라는 이름을 추천했다. 하지만 허셜 자신은 새로운 발견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데 서슴지 않고 영국 국왕의 이름을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