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행성 위협 막을 첫걸음 DART과학동아 l2021년 11호
- 10분가량(1% 수준) 줄어들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다트 임무에 참여하는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 우주탐사그룹장은 “천체의 움직임을 다루는 천체역학은 오차범위 안에서 현상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만큼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다만 아직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기후 모델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후과학자들을 양성해낸 산실이기도 하다.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는 막스플랑크 기상연구소 출신의 기후과학자들이 활발히 활동하며 기후 모델과 지구온난화를 연구하고 있다.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필자를 비롯한 기후과학자들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 ...
- 코로나19와 공존하는 세상...백신, 그 후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피할 수 없게 됐다. 앞서 공존을 택한 국가들의 선례를 통해 위드 코로나를 준비하는 한국이 가야 할 방향을 짚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2021, 코로나19와 공존하는 세상...백신, 그 후[인포그래픽] 코로나19 백신 종류와 원리Part1. 접종 양극화, 고통 장기화 불러온다 │ 데이터로 본 ... ...
- 접종 양극화 고통 장기화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없었던 대만, 베트남, 뉴질랜드, 호주, 태국 등은 실제로 백신 접종률이 매우 낮았다. 한국도 역시 당시에는 감염 규모를 안정적으로 통제해서 백신 접종에 속도가 붙지 않은 나라 중 하나였다. 접종률을 올리기 위한 여러 노력이 각각의 의미를 지니지만, 유행 상황이라는 외생 변수의 영향을 ... ...
- [NST, 모두의 연구] 암흑 우주 속 은하 ‘화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주목하는 반짝이는 별 대신 칠흑 같은 어둠을 들여다보는 연구자가 있다. 9월 28일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에서 만난 고종완 천문연 은하진화그룹 선임연구원은 밤하늘의 평균 밝기보다 수천 배 어두운 극미광(LSB) 영역에서 우주 탄생의 단서를 찾는다.“쉽게 말해 하늘에서 은하 ‘화석’을 ... ...
- [인터뷰] "나에게 상처주지 않길" 황유경 GC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소장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신약 개발은 무수히 많은 실패를 견뎌낸 자만이 거머쥘 수 있는 특권이다. 수많은 후보 물질 가운데 치료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골라내고, 수차례 까다로운 검증을 거쳐 끝끝내 안전성을 인정받아야 신약으로 출시될 수 있다. 성공할 확률은 불과 0.02%다. 황유경 GC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소장은 3 ... ...
- [에디터노트] 인류를 위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5일 물리학상, 6일 화학상 수상자가 연달아 발표됐습니다. 보통 한국 시간으로 저녁 6시 이후에 수상자가 공개되는데, 이맘 때면 과학기자들은 모두 퇴근을 늦추고 노트북과 스마트폰을 손에 쥔 채 스웨덴 과학한림원의 라이브 방송에 집중합니다. 관련 분야 전문가를 곧바로 ... ...
- 식물, 공장에서 키웁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시장은 2025년 157억 달러(18조 57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후발주자인 한국은 스타트업 엔씽(N.THING)이 수직농장을 컨테이너 형태로 규격화했다. 농장 자체를 제품처럼 대량생산해 판매한다는 아이디어다. ‘FaaP(Farm as a Product·제품형 농장)’라고 불리는 이 사업모델로 엔씽은 지난해 ... ...
- 엔지니어의 손 끝, 누리호 심장을 빚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소련의 영향으로 우주 로켓 전문가가 많은 우크라이나에 가보면 정작 가공 장비는 한국의 1980년대 수준에 머뭅니다. 그런데 그걸로 발사체를 만들어내요. 발사체 기술은 그만큼 숙련된 작업자와 엔지니어의 역할이 중요합니다.”조립 절차 또한 까다롭다. 엔지니어가 볼트 하나를 조일 때도 4~ ... ...
- [기획] 노벨화학상, 비대칭 분자를 만드는 정확한 도구를 개발하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아주대에 부임한 뒤인 2008년도에는 아주대에서 세미나도 개최했다. 가장 최근에는 2017년 한국에서 진행된 유기화학 분야 국제학회 OMCOS19에 참석해 최근 연구 결과를 같이 공유했다.맥밀런 교수는 아주 겸손하게 “운이 좋아 우연히 발견했다”고 노벨상 수상 소감을 말했다. 노벨상 수상 연락을 받은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