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진짜임"(으)로 총 1,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현역 검사, 그리고 디지털포렌식 전문가2015.05.15
- 올여름 서울대 수리정보과학과 1기 졸업생이 될 검사 3인방. 왼쪽부터 주민철, 이환기, 신교임 검사와 이들을 가르치는 김명환 수리과학부 교수. 이들은 “처음에 수학 수업을 들었을 때 ‘멘붕’에 빠졌었다”면서 “매주 치러지는 쪽지시험 덕분에 이제는 디지털포렌식에 필요한 웬만한 수학 개 ... ...
- [담배, 아직 못 끊으셨나요]전자담배는 금연 보조제가 아닙니다동아일보 l2015.05.14
- [동아일보] “니코틴 유무 관계없이 흡연 자극…담배와 같은 수준 규제강화 필요” 판매점들 위장 마케팅 성행…‘금연 도우미’ 오해하기 쉬워 “금연 정책의 성공을 위해선 지금보다 더 적극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강영호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 “일반인들은 일반 담배 못지않 ...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2015.05.11
- 일반 대중보다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더 잘 알려져 있지만, 복잡한 세포(진핵세포)의 기원은 지난 40년 동안 진화학자들 사이에서 벌어진 가장 뜨거운 논쟁의 주제 가운데 하나로, 어떻게 해서 이 세상에 복잡한 생명체들이 퍼졌는지에 관한 의문을 해소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열쇠다. - 닉 레인, ... ...
- 인공피부는 호크아이를 구할 수 있을까2015.05.08
- 인간 뇌의 신경망을 모사한 최강의 인공지능을 갖춘 울트론은 어벤져스를 위협하는 악당으로 등장한다 -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슈퍼히어로 군단 ‘어벤져스’가 이번엔 가공할 인공지능 ‘울트론’에 맞선다. 끊임없이 자신을 복제하는 울트론은 가상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04.30
- 개미는 자연생태계에서 가장 성공한 동물 중 하나로 손꼽혀요. 지구에 개미가 얼마나 많은지, 지구상의 모든 동물들의 무게를 합했을 때 그 중 개미가 무려 15~20%를 차지하지요. 오늘 명예기자들은 개미세계탐험전이 열리고 있는 국립생태원을 방문해 개미학자가 돼 보기로 했어요. 관우와 민재의 ... ...
- 계산기, 수학 시간에 진짜 써도 되는 거야?수학동아 l2015.04.30
- 교육부는 지난 3월 16일, 새 수학교육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종합계획에서 가장 논란이 됐던 부분은 바로 '계산기 사용'이다. 정말 수학 시간에 계산기를 쓰게 되는 걸까? 미국, 호주, 핀란드 같은 나라에서는 수학 시간에 계산기를 사용하는 게 특별한 일이 아니다. 시험을 볼 때도 사용한다. ... ...
- 야구공을 광속으로 던진다면 어떻게 될까2015.04.26
- 시공사 제공 ■ 위험한 과학책 (랜들 먼로 著, 시공사 刊) 과학영화나 소설을 보고 있으면 드는 기발한 생각. 현실에선 거의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만약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야구공을 광속으로 던질 수 있다면, 지구 상 모든 번개를 모아서 한곳에 집중적으로 보낼 수 있다면? 기발한 상상 ... ...
-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04.25
- 2015년 봄, ‘사도’라는 이름의 정체 모를 거대괴물이 지구에 나타난다. 이미 지구는 한 차례 멸망한 뒤 가까스로 재건한 상태인데, 이 괴물 때문에 또 멸망하게 생겼다. 인류는 사도를 물리치기 위해 인간형 거대로봇 에반게리온을 출격시킨다. Kotobukiya(Kotobukiya.co.jp) 제공 1995년 나온 일본 애니메 ... ...
- 대구 3호선 개통, 국내 첫 모노레일…지상 11m 높이에서 도심 가른다동아닷컴 l2015.04.23
- [동아닷컴]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인 모노레일 스카이레일(Sky Rail)이 23일 개통된다. 대구도시철도는 이날 오전 대구시 수성구 어린이회관 광장에서 시민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통식을 열고 정식 운행에 나선다. 1조4913억 원을 투입해 2012년 말 구조물 건립을 끝낸 도시철도 3호선은 대구시 북구 ... ...
- “열등감 많던 아이, 책이 바꿨죠”2015.04.15
- [편집자주] 과학의 달 4월도 반이 지났다. 하지만 사람들은 깊게 생각하고 함께 답을 찾는 ‘진짜 과학’은 외면하고, 디지털 세계와 스마트폰이 주는 얄팍한 즐거움에만 빠져들고 있다. 함께 책을 읽고 토론하는 문화가 더욱 아쉬운 시점이다. 과학책을 읽는 것이 현대사회에서 왜 중요한지, 함께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