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6,96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울 3호기 임계 허용…냉각계통 앵커 재시공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경북 울진군에 있는 한울원자력발전소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경북 울진군에 있는 한울 3호기 원전의 임계가 허용됐다. 임계는 핵분열 연쇄반응에서 중성자 수가 평형을 이루는 ... 진행했다. 이후 원자로 출력 상승시험 등 후속 검사 10개를 진행하며 안정성을 최종
확인
할 예정이다 ... ...
공룡 대멸종시킨 소행성 충돌 또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원인으로 지목되는 대형 소행성의 지구 충돌 흔적이 서아프리카 앞바다에서 추가로
확인
됐다. 분석에 따르면 소행성 충돌로 높이 800m가 넘는 해일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스딘 니컬슨 영국 헤리엇와트대 에너지·지구과학·인프라 및 사회학부 교수팀이 서아프리카 기니 해안의 수중 ... ...
[사이언스영상] 우주비행사들이 우주로 나갈 때 착용한 렌즈
SEIZE
l
2024.10.04
John Kraus/Polaris Program 제공 9월 12일, 최초로 우주 유영을 한 민간인들이 낀 특수 스마트 렌즈가 있습니다. 물론 연구용이었는데요. 우주에 다녀온 ... 뭔지 뭐길래 스마트 렌즈까지 동원하는지 자세한 내용을 씨즈 영상에서
확인
해 보세요! ● 씨즈 영상 자세히보기 https://m.site.naver.com/ ... ...
가장 자세한 초파리 뇌지도 작성…뇌 비밀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기능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예측에서 머물렀던 기존 연구가 실질적인 뇌 활동을
확인
하는 연구로 발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한 마리가 아닌 여러 마리의 초파리 뇌 지도를 완성해 이들을 비교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이번 연구에서는 시냅스의 전기적, 화학적 작용이 ... ...
[동물do감] 반려견에게 느리게 말하면 더 잘 이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결과 개는 소리를 인지할 때 속도뿐 아니라 운율도 중요하게 인식한다는 사실이 추가로
확인
됐다. 연구팀은 "인간이 개의 청각 능력을 활용하기 위해 발성을 조절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인간과 개가 서로 다른 음성 처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며 "반려견에게 ... ...
의료계 "인력 추계위, 2025년 정원 논의 안하면 참여 않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성장시켜야 할 대학 본연의 책무를 저버린 매우 부당한 행위"라며 "중대한 하자가
확인
될 경우 엄중히 문책하고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바로 잡을 예정"이라고 강하게 경고한 바 있다 ... ...
지구 번개구름, 더 오래 넓게 '방사선'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연구에서 감마선 방출이 수천㎢(평방킬로미터)에 걸쳐 몇 시간 동안 일어난다는 것이
확인
됐다. 연구팀은 "뇌운의 감마선 방출 때문에 걱정할 필요는 없다"며 "생성되는 방사선의 양은 사람이나 물체가 발생 지점에 아주 가까이 있을 때만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비행기는 뇌운 중심부 비행을 피하기 ... ...
세포 노화·사멸 핵심 '텔로미어'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연구팀은 "이 지도를 통해 ALT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1000여개의 구조적인 변이들을
확인
하고 이러한 변이가 유전체 내에 분포하고 자리잡는 원리에 대해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또한 독특한 서열로 재구성된 텔로미어의 구체적인 구조를 규명하면서 유전체 내부에도 이 서열이 ... ...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 예측·치료 돌파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김락균 교수는 “겔솔린이라는 단백질이 류마티스 관절염을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
했다”며 “이번 연구는 오랫동안 한계에 부딪쳤던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 예측과 치료에 중대한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세포사멸과 분화’에 8월 24일 ... ...
과학계 난제 '불균일 확산' 160년 만에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연구팀의 2개 요소 확산 모델(KIM)이 실험 관측 데이터(EXP.)를 가장 정확히 설명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KAIST 제공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Polyacrylamide Gel)은 빈 공간이 많은 다공성으로 내부에서 확산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시간해상도가 높은 확산 데이터를 얻기 좋은 물질이다. 연구팀은 색소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