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스페셜
"
박사
"(으)로 총 1,854건 검색되었습니다.
침방울 속 코로나19 바이러스, 여름에는 감염 능력 하루로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연구 1 저자인 제레미아 맷슨 미국 마셜대 생명의학부
박사
과정생은 “코로나19에서는 침방울을 통한 감염이 주요 경로지만 표면을 통한 감염 가능성 또한 다뤄야 한다”며 “작은 연구지만 대중에 유익한 정보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사비즈니스로 추락한 과학연구
2020.06.18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
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 ...
혈액형별 코로나19 걸리면…A형 중증·O형 경증 가능성↑
연합뉴스
l
2020.06.18
단백질로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미국 위스콘신 의대의 혈액전문가인 파라메스와 하리
박사
는 "혈액형이 O형인 경우 코로나19 표면의 단백질을 이질적이라고 인식하는 능력이 더 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혈액형은 콜레라, 위궤양이나 위암을 불러일으키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 ...
토성 위성 '타이탄' 극지 함몰 지형 "폭발성 분화 증거"
연합뉴스
l
2020.06.17
해 지구나 화성에서 폭발이나 붕괴로 형성되는 화산 지형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우드
박사
는 "이런 지형적 특성들이 메탄으로 된 호수 인근에 형성돼 있다는 것은 메탄이나 질소 등 휘발성 가스가 폭발력을 제공했을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며, 상대적으로 최근 형성됐다는 것은 아직도 ... ...
마이크로RNA 분석 기술 코로나19 진단에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KIST 책임연구원(왼쪽)과 정승원
박사
후연구원.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단백질 생산을 조절하는 마이크로RNA 분석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비롯한 바이러스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상경 분자인식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장기전…경제 논리에 휘둘려선 안 돼"
연합뉴스
l
2020.06.16
수익성이 낮아 국제기구나 정부 지원이 없으면 민간기업이 개발하기 힘들다. 조
박사
의 분석에 따르면 현재까지 미국 정부는 백신 개발에 2조2천억원 이상을 들였으며, 앞으로 1년간 6조원 이상 추가 지출할 계획이다. 영국에 본사를 둔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코로나19 확산이 지속하는 동안 ... ...
[과학게시판] 핵융합연, 연구자와 함께하는 온라인 멘토링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25개 기관이 함께하는 ‘제13회 과학기술 청소년
박사
주니어닥터’ 참가신청을 받는다. 주니어닥터는 전국 청소년들이 특구 내 정부출연연구기관, 대학, 공공기관 등 연구현장에서 과학을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과학축제다. 이달 15일 10시부터 주니어닥터 홈페이지(https:/ ... ...
"코로나19, 3단계로 뇌 공격한다"
연합뉴스
l
2020.06.12
개선 등을 통해 뇌의 활력을 회복하고 후유증을 차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포투히
박사
는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병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최신호에 발표됐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새 원소 발견의 영광을 안았다. 리켄에 취직한 9년 뒤에 결국 모리타는 규슈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 기초과학의 힘이 어디서 나오는지를 엿볼 수 있는 일화이다. 한편 멘델레예프는 1906년 노벨화학상 후보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수상하지는 못했다. 그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인사들의 ... ...
별 형성 영역 깊숙이서 쌍성계 만드는 원시별 생생하게 포착
연합뉴스
l
2020.06.10
360년 주기로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논문 공동저자인 MPE의 하이메 피네다
박사
는 "이번처럼 형성 초기 단계에 있는 쌍성계 별의 전체 궤도까지 파악한 것은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파올라 카셀리 MPE 소장은 "이번 관측 결과로 마침내 가장 깊은 곳에 박혀있는 초기 원시별 항성계 중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