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책상 위 탄산음료, 당신을 바보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집중했다면 뇌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연구팀은 미국인이 1년에 약 18.14kg 섭취하는 액상과당에 주목했다. 두 그룹의 쥐에게 5일 동안 보통 사료를 먹이면서 하루에 2번씩 미로 찾기 훈련을 시켰다. 이후 6주 동안 한 그룹에는 액상과당 용액을 먹이고 나머지 그룹에는 ...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감염의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문제점도 있다. 임 교수는 “전극을 이식한지 5년이 넘도록 신경신호가 고르게 나온 캐시는 상당히 운이 좋은 케이스”라고 지적했다. 1mm 길이의 바늘을 뇌에 꽂는다는 것은 상처가 생긴다는 뜻인데, 이 상처가 아물면서 신경신호가 달라질 가능성이 ...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weak interaction)과만 상호작용을 한다. 암흑영역에 대한 가설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90년대다. 당연히 암흑광자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암흑전자기력 존재할까형광등 불빛 아래서 책을 읽고, 최신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검색하고 있는 당신. 당신은 지금 전자기력이 주는 혜택 속에서 살고 있다. ... ...
- 모든 비과학에 맞선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보고 다른 가능성과 비교해 보자”고 주장한다.‘파티마의 기적’도 마찬가지다. 1917년, 포르투갈 파티마에서 소녀 세 명이 마리아가 기적을 행할 거라고 주장했다. 이 말을 믿은 사람들이 약속한 날이 되자 7만 명이나 모여들었다. 이후 일어난 일은 증언이 엇갈린다. 누군가는 태양이 춤추는 듯 ...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도움이 된다고 말이야. 미세먼지를 잡아라!우리나라는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려고 2005년부터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어. 이런 노력의 하나로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공동으로 미세먼지의 특성을 분석하는 ‘드래건’ 실험도 함께 진행하고 있지.각 지역에서 하늘에 떠 있는 미세먼지를 관측하는 ... ...
- 문과냐 이과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3년 후면 전공을 선택해야 한다. 어찌 보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3년이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성적에 맞춰 대학에 갔다가 전공이 적성에 맞지 않아 학교를 그만두거나,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다시 공부하는 사람도 많다. 그런 아까운 시간을 줄이려면 되도록 심사숙고해서 진로를 결정하는 것이 ... ...
- “다이내믹한 활동으로 열정을 드러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듣고 있다. UNIST는 입학할 때 학과를 미리 정하는 것이 아니라 무학과로 입학 후 1학년 기초 과정을 들어보고 학과를 선택한다. 은지 양이 UNIST를 선택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정보가 많지 않은 고등학교 시절에 진로나 학과를 정해서 진학하는 것은 좀 불안했어요. 그런 면에서 대학에 들어와서 ... ...
- 바둑도 수학규칙 따른다수학동아 l2012년 06호
- 그 결과, 바둑의 패턴이 ‘지프의 법칙’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지프의 법칙은 1920년대 하버드대학교 언어학자인 조지 킹슬리 지프가 고안한 법칙이다. 당시 그는 사람들이 어떤 단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를 연구하던 중, 단어가 쓰이는 빈도에 어떤 규칙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 ...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알란 튜링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2년 06호
- 그 때쯤 튜링은 생각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만드는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10여 년 전 자신이 만든 튜링 기계는 사람과 달랐습니다. 사람은 컴퓨터와 달리 실수를 하기도 합니다. 반대로 컴퓨터는 아무리 실수 없이 답을 척척 내놓아도 생각한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튜링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 ...
- 딱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수 있는 인재를 기르는 교육이야. 올해는 무려 160개 학교에서 STEAM을 시작한다고 해. 작년에는 불과 16개 학교에서 시작했는데, 1년 사이에 10배나 늘었지 뭐야. STEAM은 단순히 다섯 과목을 한 번에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야. STEAM의 핵심은 바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지. 문제를 푸는 ... ...
이전1069107010711072107310741075107610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