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d라이브러리
"
월
"(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세계에서 과학실험 맛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3Q로봇블록케이블록 | 3만 6000원독특하게 생긴 블록을 사용해 로봇을 만드는 전자블록.
월
E, 토끼로봇, 청기백기로봇처럼매뉴얼에 나온 로봇은 물론, 약간의 창의력을 더하면 원하는 로봇을 맘대로 만들 수 있다. 가장 안전한 플라스틱인 폴리에틸렌에 특수 코팅을 했다.앙부일구엠아이페이퍼 | 690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때문이다. 사실 이런 경우는 케플러의 문제보다도 더 어렵다. 과학저널 ‘네이처’ 8
월
13일자는 크기가 같은 정사면체를 가장 빽빽하게 쌓은 세계 신기록을 표지 논문으로 다뤘다.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살바토레 토르콰토 교수와 기계공학과 대학원생인 양 지아오가 역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알을 낳는다. 암컷 한 마리는 산란기간에 10만여 개의 알을 낳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8
월
이 되면 남해안에서는 갈치잡이 시즌이 시작된다. 갈치잡이 어선은 보통 해가 질 무렵 출어해서 이튿날 새벽에 돌아오는데, 이즈음의 밤바다는 대낮같이 환한 조명을 밝히며 떠다니는 수백 척의 낚시 어선들로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독서를 하도록 프로그램돼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즉 말을 하는 능력은 오랜 세
월
을 거쳐 인류의 뇌 속에 신경회로가 구축돼 있지만 불과 수천 년 전의 발명품인 글을 읽기 위해 준비된 신경회로는 없다는 뜻이다. 결국 우리는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신경회로와 언어처리회로를 활용해 글을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최근에는 2001년 봄 아제리 해안에서 진흙화산이 분출해 새로운 섬이 탄생했고, 그해 10
월
에는 바쿠의 로바탄 지역에서 분출된 진흙이 바쿠 바깥쪽 15km까지 흘렀다.어떻게 진흙이 화산처럼 분출할까. 전문가들은 “지하에 있던 가스가 압력을 받아 폭발을 일으키면서 진흙과 함께 뿜어져 나오는 ... ...
생명체에서 ‘오른손 분자’도 중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류신이라는 두 오른손잡이 아미노산이 이 변화를 주도한다는 사실을 밝혀‘사이언스’ 9
월
18일자에 발표했다.세포벽은 아미노산과 당이 서로 결합해 만든 그물망 구조인‘펩디도글리칸’으로 이뤄져 있는데 D-메티오닌과 D-류신이 끼어들어가면서 펩티도글리칸 합성이 줄어든다. 왈더 교수는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스마트 그리드는 가전제품 업계의 중요한 테마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최대의 가전회사
월
풀은 지난 5
월
스마트 그리드와 연계되는 제품을 2015년까지 내놓겠다고 발표했다. 다른 가전회사들도 이 같은 대열에 동참할 가능성이 높아 스마트 그리드의 현실화는 더욱 바짝 다가오게 됐다.인터넷과 연결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춤을 추거나 눈동자를 움직이는 행위만으로도 영상과 소리가 탄생하는 걸까. 지난 9
월
16일, 자세한 이야기를 듣기 위해 이 교수의 연구실을 찾아갔다.인터미디어는 디지털 예술과 과학기술의 만남‘음악을 위한 음향학’‘20세기 클래식과 현대음악’‘존케이지 악보집’‘수, 과학의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렌즈가 없는 카메라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한창이다. 미국의 IT전문지 ‘레이저 포커스
월
드’에 따르면 매사추세츠공대(MIT) 요엘 핑크 교수팀은 지난 7
월
“렌즈 대신 수많은 가닥의 특수 광섬유로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광섬유로 만든 카메라의 가장 큰 장점은 ‘렌즈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남성에게 가장 호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를 생태진화 분야 학술지인 ‘행동생태학’ 8
월
호에 발표했다. 색스턴 박사팀은 남성의 얼굴과 여성이 느끼는 호감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일부 얼굴 사진은 남성다움이 두드러지도록 합성했고 일부 사진은 조사에 참가한 여성들의 얼굴과 비슷하게 ... ...
이전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
10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