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첫 번째 기상 사진이다. 천리안 위성은 그 이후 9개월의 시험운영을 마치고 올해 4월부터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➋ 항우연에서 천리안 위성을 점검하고 있다. 천리안 위성은 2003년부터 국가 중장기계획에 따라 프랑스 아스트리움사와 공동으로 개발했다. 통신해양기상위성, 통해기 위성으로 불리다가 ... ...
- [수학뉴스] 동물의 멸종을 계산하는 수학공식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멸종위기의 동물이 정말 멸종될지 아니면 살아남을 수 있을지를 알 수 있는 수학공식이 등장했다. ‘세이프’라 부르는 이 공식은 호주 아델라이드대와 제임스쿡대의 연 ... 교수는 세이프 공식이 멸종을 예측하는 가장 좋은 지수로 사용될 것이라며 세이프 공식의 가치에 대해 강조했다 ... ...
- [수학클리닉] 수 체계 정확하게 이해하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할 때 학생들에게 위기가 찾아오죠.많은 학생들이 순환소수를 분수로 고치는 것을 공식화해서 기계적으로 그 방법을 외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리를 이해하지 않으면 학년이 올라가 내용을 다시 접할 때 관련 문제에 손댈 수 없죠. 1.4679679679…를 분수로 나타내어라.오늘은 원리를 이용해 풀이해 ... ...
- 특성다항식의 다양한 접근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케일리 헤밀턴 공식은 2행 2열 행렬 A=(a bc d)에 대해 A2-(a+d)A+(ad-bc)E=0 혹은 A2-(tr(A))A+(det(A))E=0이다. 이것은 |A-λE|=0이라는 λ에 관한 이차방정식에서 λ 대신 행렬 A를 대입했을 때도 성립한다. 이때 |A-λE|를 특성다항식(charicteristic polynomial)이라고 부른다.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과학동아 l2011년 04호
- 1m는 물론 1cd도, 1A도 구해내지 못한다. 현대 사회에서 과학이란 ‘시간으로 만드는 공식’에서 출발한다고 해석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 셈이다.그렇다면 한 가지 의문이 든다. 1초는 또 어떻게 정하는 걸까. ‘세슘-133 원자가 갖는 바닥상태의 두 초미 전이에 해당하는 복사선이 가지는 주기의 9,192,631, ...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것”이라고 말했다. 지진해일의 전파속도는 중력가속도×수심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이 공식에 따르면 수심이 6km에 달하는 태평양 한가운데를 지날 때는 지진해일의 전파 속도가 민간 항공기와 비슷한 시속 800km에 이른다. 이 수석연구원은 “지진의 진앙이 일본 동부 해안으로부터 130km 밖에 ...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현상을 연구하는 과학자가 가질 수 있는 최고의 꿈은 상온초전도체 발견이다.현재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초전도 현상의 최고 온도는 138K다. 이는 수은, 탈륨, 바륨, 칼슘과 고온초전도체의 핵심물질인 산화구리를 한땀한땀 복잡한 구조로 이어 만든 다음에야 얻은 결과다. [제임스 카메론의 영화 ...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탄 유리 가가린은 인류 최초로 우주비행에 성공했다. 내가 러시아에서 훈련받으면서 비공식적으로 들은 수많은 소문 중에는 유리 가가린이 최초로 우주비행을 했던 우주인이라기보다는 우주에 갔다가 최초로 무사히 지구로 돌아온 우주인이라는 이야기도 있었다.사실이건 아니건 우리는 그들이 ... ...
- [뉴스 포커스] "내가 바로 우리 도시의 수학대표"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수 있어 대회가 계속될수록 참가자 수가 늘 것으로 전망한다” 고 설명했다.시험은 수학 공식보다는 수학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대부분이다. O레벨은 4시간 동안 5문제, A레벨은 5시간 동안 7문제가 주어진다. 충남 서산 대표로 참가한 이종흔(충남 서산중 3년) 군은 “시험 시간이 ... ...
- 3차 방정식의 판별식수학동아 l2011년 04호
- 3차 방정식에서는 이런 편리한 방법이 없는 것일까? 3차 방정식과 4차 방정식까지는 근의 공식이 존재한다는 것은 유명한 사실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3차 방정식의 근의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도 있어야 하지않을까? 이번 과제에서는 그것에 대해 고찰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앞으로 다루는 모든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