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유학일기] 열심히 쓰고 자연스럽게 말하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깜짝 놀란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다. 외국인은 영어 발음이나 억양에서 대부분 티가
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나를 포함해 주변의 유학생들 대부분은 발음이나 억양이 미국인과 비슷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는 경우가 있다. 일상생활에서 미국인이 주로 사용하는 ... ...
[시사과학] 신맛 사탕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대변인실 김 지영 주무관은 “신맛 사탕을 한꺼번에 많이 먹으면 입속에 상처가
날
수 있으므로 적당히 먹는 게 좋다”면서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자극이 생기면 즉시 먹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당부했답니다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끊임없이 저울질했다.논문을 투고하고 3주 뒤인 3월 12일, 마침내 답변이 왔다. 그 내용은
날
울고 싶게 만들었다. 논문의 문제점이 조목조목 쓰여 있었다. 이번에 찾은 성단이 새로운 성단임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부분이 부족했다. 무엇보다 연구 결과를 영어로 설명하는 부분에서 내 논문은 완전히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한반도의 과거를 조명하고, 이를 통해 한반도의 미래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게 될
날
을 기대해 보겠습니다. 이승환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암석학연구실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암석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현재 백악기 퇴적분지인 진안분지에 나타나는 암석과 신생대 백두산 화산암의 형성 과정 ... ...
충격이 몸에 남긴 힌트 표피 박탈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타고 집으로 돌아왔다. 다음
날
자고 일어났는데도 몸이 개운하지 않다. 시간이 지
날
수록 이상하게 몸이 좋지 않다. 배는 점점 더 아픈 것 같다. 도저히 참을 수 없을 정도가 되자 병원에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의 기억 일부가 *블랙아웃으로 사라진 시점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 CCTV를 통해 그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말합니다. 가령 우리가 B라는 화학물질을 상자에 넣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B가 C로 변했다면 공기 중에 A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C가 얼마나 많이 만들어졌는지 양까지 파악할 수 있다면 공기 중에 A가 얼마나 많이 있었는지도 추론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C가 ... ...
[인터뷰] 수학 국가대표 4인방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그때 모두 첫
날
제가 친구들에게 몇 문제를 풀었는지 공개하자고 해서 친구들의 둘째
날
시험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이번 IMO에서는 그런 얘기를 하지 않고 표정 관리를 했어요. Q IMO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을 꼽는다면?강지원 시험장 안에서 긴장했던 순간이 떠올라요. 문제가 ... ...
[통합과학교과서] 토끼의 고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밝혔답니다. 스토리 따라잡기│“이렇게 어두운 곳에 계속 계시니까 그렇죠.
날
씨도 좋은데 밝은 곳에 나가서 좀 달려 보세요.” 토끼의 문제는 늘 어두운 곳에 숨어있는 버릇이었어요. 추운 겨울 동안 어두운 곳에 숨어 에너지를 아끼다보니 다시 잠이 많아진 거예요. 토끼는 꿀록의 조언을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나 역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떠나 공부를 하고 있던 터라 그가 왜 캐나다우주국을 떠
날
결심을 했는지 질문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기회를 다음 세대 우주인과 나누고 싶었다고 했다. 캐나다가 ISS 참여국이긴 하지만 미국과 러시아에 비하면 참여율이 높지 않아서, 캐나다 우주인의 비행 ...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연구하고 나서, 그 방법에 대해 좀 더 깊게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2019년 6월의 어느
날
스페인 마드리드 호텔에서 연구비 신청서를 쓰던 중, 어떤 방향으로 이 문제를 공략할 것인가를 쓰려고 고민하다가 이번 증명을 떠올렸다고 합니다. 이 같은 내용은 미국 컴퓨터 과학자 스콧 애런슨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