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상
파두
badawi
d라이브러리
"
바다위
"(으)로 총 1,78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 시간이 없다, 행동하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지난 3월 20일 ‘사이언스’는 “지구 온난화란 대재앙을 막을 시간은 앞으로 10년뿐”이라고 밝혔다. AP통신은 지난 4월 2일 “최악의 경우 2050년까지 100만종 이상의 생물이 멸종 위기에 놓일 것”이라고 보도했다.최근 과학자들이 지구의 기후에 대해 내놓은 예측은 하나같이 암담하다. 환경단체들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인류를 신비로운 바다 속으로 빠져들게 만드는 소설 ‘해저2만리’. 노틸러스호라는 잠수함을 타고 세계 바다 속을 누비는 네모 선장과 심해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아로낙스 박사는 해양과학자에게 동경의 대상이다.지금으로부터 136년 전인 1870년에 완성된 ‘해저 2만리’의 내용은 과학적으 ... ...
퇴적 예술의 걸작품 두무진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백령도는 서해바다의 종착역이다. 북한 황해도 장산곶에서 불과 17km 밖에 떨어지지 않은 이곳은 휴전선과 가깝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태초의 신비와 아름다운 풍경을 그대로 간직한 무공해 섬이다.하늘에서 내려다보면 백령도는 마치 한 마리 새가 북쪽의 장산곶을 향해 날개 짓하는 것처럼 보이는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하늘에서 흰 눈이 내린다. 앙상한 나뭇가지 위에도, 친구의 속눈썹 위에도 솜털처럼 가뿐하게 내려앉는다. 눈송이가 손등에 떨어진다. 눈이 녹는 차가움도 잊은 채 눈송이를 관찰한다. 눈송이의 모양이 육각형이라는 사실은 이미 오래 전의 독서를 통해 알고 있다. 그러나 자세히 보는 건 처음이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두 브랜드를 통해 스포츠와 음악이 만났다.‘나이키 + 아이팟’ 키트는 운동화에 내장된 작은 센서를 통해 실시간 트레이닝 데이터를 아이팟 위에 표시해 주며 움직임에 따라 목소리나 음악이 나온다. 악기소리를 받아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로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1980년부터 지구의 평균 기온 기록을 보면 열대지역이 넓어지면서 날씨를 교란시키는 제트 기류의 흐름이 양극 쪽으로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나타난다. 면역(免疫)담당세포의 하나 탐식(貪食)세포라고도 불리우며 동물체내의 거의 모든 조직에 분포한다 이(異)물질이나 체내의 노폐(老廢)세포 ... ...
발해의 닻을 올려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백두산에서 시작해 한참을 달려온 두만강은 동해에 다다른다. 쉬지 않고 흐르던 그 물길은 강 하구의 황금빛 모래사장을 거쳐 해류를 타고 북으로도 흘러든다. 모래사장에서 북쪽으로 17km 정도 지났을까. 마침내 두만강 물줄기는 어느 섬에 도착한다.섬의 이름은 ‘후루겔므’. 바로 러시아령인 두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일부 과학자들은 고래들이 포경보다는 해운이나 고기잡이 그물, 화학 오염, 기후 변화, 먹이 고갈 등으로 더 큰 위험에 처해 있다고 주장한다. 다른 이들은 포경이 금지되면 줄어든 고래 개체군이 인간의 위협에 오히려 더 취약해질 것이라고 한다. 기온 습도 태양복사 등 여러 기상요소를 조합하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4월 5일이 무슨 날인지 모르는 친구들은 없겠지요? 바로 나무 심는 날인‘식목일’입니다. 매년 학교나 동네 뒷산에서 묘목을 심었던 기억이 있을 거예요. 그렇다면 왜 이렇게 날짜까지 정해 나무를 심는 걸까요? 그냥 보기 좋으라고 심는 걸까요? 아니랍니다. 나무는 우리 인간뿐 아니라 지구의 모 ... ...
유기 발광 다이오드(LED) - 태초에 빛이 있으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를 반도체뿐 아니라 고분자 물질에서 만들 수 있다는 발견이 탄소를 이용한 고효율 LED 시대를 열고 있다. 이제 얇고 투명한 판에서 만들어지는 유기 LED가 다른 전구들보다 더 밝게 빛나고 있다. 식물의 성장기능을 조절하는 물질로 휴면아의 형성에 관여하고 낙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