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노화와 뇌과학, 신약개발, 재생의학 등 전임상 연구를 지원할 수 있게 됐다”며 “국내 의생명과학기술을 발전시키고 바이오산업을 활성화시켜 궁극적으로 국민 보건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연차별로 번식이 가능한 모체 영장류를 들여와 검역과 사육, 번식 기술을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보조 장비를 이용해 보행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를 이끈 그레고르 쿠틴 로잔연방공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조슬린 블로흐 로잔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마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신경 치료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8-0649-2, doi:10.1038/s41593-018-026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수리연) 수학자들과 의사들의 공동 연구를 추진했다. 충남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원장으로 재직하면서 의료 현장에서 고민하는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기 위해 수리연에 ‘의료수학’ 공동 연구를 요청한 것이다. 충남대학교병원은 이미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표준연구원 등 다양한 연구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또한 태양에너지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에 이용돼 화학에너지로 바뀌어 동·식물의 생명 활동을 유지시킨다. 생물이 죽어 땅속에 묻히면 화석연료(석유, 석탄 등)가 생성되고, 화석연료는 연소 과정을 통해 열에너지로 전환된다. 이 밖에도 태양에너지는 다양한 형태로 전환돼 지구에 많은 영향을 ... ...
-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시작합니다!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 대작전, 바이오블리츠바이오블리츠는 ‘생명’을 뜻하는 ‘Bio’와 ‘대대적인 공격’이라는 뜻의 ‘Blitz’라는 두 단어의 합성어로, 24시간 동안 생태 전문가들과 함께 일정한 지역 내의 모든 생물종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탐사 활동이에요. 우리 주변의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표면에는 물(액체)이 고여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우주에 인류가 아닌 다른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앨리슨 혹스 NASA 에임스연구센터 박사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광활한 우주 안에서 지구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케플러 이어 ‘테스’ 활동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공하면서 복수전공으로 컴퓨터공학을 선택했고, 부전공으로 생물학까지 이수했다. 생명공학기술(BT)과 정보기술(IT)을 융합한 생물정보학 연구에 최적화된 셈이다. 김 교수는 “크리스퍼(CRISPR-Cas9)로 대표되는 유전체 교정 기술을 함께 이용하면 단일 세포 수준에서 유전형과 표현형의 연결고리도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그는 “자기소개서와 면접을 준비하면서 찾아보니 화학생물공학부는 나노기술, 생명공학기술 등 연구 분야가 매우 다양했다”며 “진로 선택의 폭이 넓다는 장점에 끌려 화학생물공학부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유 씨는 1학년 때부터 무조건 지역균형 선발전형으로 서울대에 입학해야겠다고 ... ...
- [과학뉴스] 레이저로 ‘우주 등대’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TRAPPIST-1에는 7개의 외계행성이 있고, 그 중 3개는 외계생명체가 서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최대 2만 광년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할 수 있는 인공조명을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제임스 클락 MIT 항공우주학과 연구원은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바이오 전자 코, 바이오 전자 혀, 인공 망막 등을 개발하고 있다. 박 교수팀은 2015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그래핀에 특정 냄새 분자를 맡는 인공 후각수용체를 결합해 바이오 나노 전자 코를 만들었다. 바이오 나노 전자 코는 사람의 코를 대체해 유독가스처럼 인체에 해를 끼치는 물질을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