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부자가 된 흥부의 의뢰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과학실에서는 이 용액에 생물표본을 보관한답니다. 이날도 과학실 싱크대 밑에 있던 생물표본 1.5L 병을 옮기던 중 병의 윗부분이 깨지며 포르말린이 밖으로 유출됐어요. 포르말린은 자극적인 냄새를 지녔으며 휘발성이 강해 상온에서 기화* 해요. 독성이 강해 기체 입자가 피부를 자극하고, ... ...
- 벌레로 벌레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 Q 모기를 잡는 천적 곤충은 어떻게 고르셨나요?모기의 천적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생물학적 방제로 쓸 수 있는 천적은 그중 일부예요. 장구벌레를 많이 먹는지, 키우기 편한지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하죠. 예를 들어, 저희가 찾은 다른 천적인 ‘식충집모기’의 유충도 장구벌레를 잡아먹지만,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까치가 좋아하는 음식은? 까치밥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옛날 우리 조상들은 가을철 감나무를 수확할 때 꼭대기에 달린 감은 따지 않았어요. 겨우내 먹이를 찾아 헤맬 새들을 위해 남겨두었지요. 이처럼 가지 끝에 남겨둔 ... 잎 뒷면 전체에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답니다. 감수선은미(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석사후연구원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큰 대왕 해파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7월 14일, 영국 생물학자 리지 달리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영국의 콘월주 팔머스 해안에서 몸길이 약 152cm의 사람만 한 해파리를 발견했다고 밝혔어요. 해양동물 보호 캠페인 촬영 중 우연히 목격한 이 해파리는 배럴 해파리로, 주로 대서양 북동부 해역과 지중해에 살고 있지요. 리지 달리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효모는 3~4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백만 분의 1m) 크기의 세포 하나로 이루어진 단세포 생물이거든요.효모(酵母)에서 ‘酵’는 ‘삭히다, 발효하다’라는 뜻의 한자예요. 즉, 효모는 ‘발효 음식의 기초가 되는 재료’라는 의미를 담은 이름이죠. 또한 효모를 뜻하는 영어 ‘이스트(yeast)’는 고대 영어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잎이 박쥐 날개를 닮은 박쥐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박쥐는 하늘을 나는 유일한 포유동물이에요. 과거 인간처럼 다섯 손가락을 지녔던 박쥐는 손가락 뼈가 점점 길어지며 손가락 사이의 피부가 늘어나 지금처럼 가느다란 ...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박사후연구원) 감수선은미(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석사후연구원 ... ...
- [출동!기자단] 수중 동물 친구들을 만나러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안엔 수중 생물들이 깨끗한 환경에 살아갈 수 있게 만들어주는 여과기와 보호가 필요한 생물을 돌보는 공간이 있어요. 오찬헌 아쿠아리스트와 기자단 친구들은 함께 영하 20℃의 냉동창고를 구경하고 냉장고에서 열빙어를 챙겨 펭귄이 있는 곳으로 이동했답니다. 흔히 펭귄은 추운 곳에만 살고 ... ...
- [가상 인터뷰] 살아있는 드릴? 돌 먹는 민물조개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있지만, 리토레도 아바타니카가 만든 굴이 게나 물고기, 달팽이 같은 물속에 사는 다른 생물들에게 서식지를 제공한다”며, “이 때문에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지. 지금까지 리토레도 아바타니카가 발견된 곳은 필리핀 아바탄 강이 지구에서 유일해. 연구팀은 우리가 ... ...
- [Go!Go!고고학자] 쓰레기장에서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그것이 바로 규조류와 미소권패류예요. 먼저 규조류는 물속에 서식하는 아주 작은 생물인데, 민물, 바닷물, 그 경계에 사는 종이 다 달라요. 만약 패총에서 바다에 사는 규조류를 찾았다면, 이곳이 고대에는 바다였다고 추측할 수 있죠.미소권패류는 먹을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조개예요. 크기가 겨우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침입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심장에 좋은 역할을 한다는 연구가 발표됐어요. 이스라엘 와이즈만 과학연구소 분자세포생물학과의 엘다드 자호르 교수팀은 손상된 심장 조직이 재생될 때 ‘섬유아세포’가 일시적으로 좀비 상태에 머무르는 것을 관찰했지요. ‘섬유아세포’는 심장을 수축하고 확장하는 근육 세포를 서로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