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치르고 있다. 이 교수는 “2019년 5월경에는 달 기지의 3분의 1 축소판을 만들고, 2020년에는 실제 크기의 달 기지를 지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제대회 참여는 국제 협력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이 교수는 미국의 록히드마틴, 인도의 팀 인더스, 일본의 아이스페이스 등 다양한 기업과 기관이 ... ...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요오드화나트륨 결정에 윔프가 닿으면 약간의 빛이 나오는데, 이를 통해 윔프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죠. 그런데 여기엔 한 가지 큰 문제점이 있어요. 요오드화나트륨 결정이 윔프 뿐만이 아니라 우주 방사선과 닿아도 빛을 낸다는 거예요. Q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셨죠? 윔프를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없었고, 그 대신 다른 종류의 중형 육식 공룡 발자국들이 있었다. 아쉽게도 정확한 답은 실제 공룡 골격이 발견돼야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반도 백악기에 다양한 공룡 생존 증거 한국 백악기 퇴적층에서는 매우 다양한 발자국 화석들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발자국의 길이가 1cm에 불과한 공룡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정도라면 두 번째, 세 번째 풀 때는 오답노트를 작성하면서 집중해 풀었다”고 말했다. 실제 시험을 볼 때는 이미지 트레이닝을 많이 했다. 시험 전날, 잠들기 전에 시험이 끝나고 웃으면서 나오는 걸 항상 상상했다. 하 씨는 “그러면 진짜 웃으면서 나오더라”며 “상투적인 말이긴 하지만 ‘나는 ...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결정했다. 긴 회의 끝에 투표 결과가 나왔다. 과연 한국 수학자들은 무엇을 골랐을까? 실제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을 지금 공개한다. 수학 발전의 길목이 된 개념과 현대 수학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념을 한눈에 엿볼 수 있는 투표 결과를 확인하고, 각 항목을 지지한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일반적으로 발사대는 발사체를 잡아 두는 하나의 구조물로 생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실제로 발사대는 발사체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면서, 동시에 연료의 저장과 공급, 발사체 제어 운용 설비 등을 모두 포함해요. 그야말로 넓은 지역에 걸쳐 있는 대규모 복합 시스템이지요. 따라서 발사대팀은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빨간 장미가 있다면,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검다’는 가설을 입증하는데 전혀 영향을 미치진 않으니까 말이에요. 이런 일은 실제 과학자들의 연구과정에서도 마찬가지예요. 만약 한 우주과학자가 ‘모든 은하계 안에는 블랙홀이 들어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면, 블랙홀이 들어 있는 은하계를 발견할 때마다 그 사례는 가설을 입증해주겠죠.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걸 확인했어요. 이 정도면 30t(톤)이 넘는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답니다. 앞으로 2020년, 실제 바다에서 테스트를 거쳐 2022년까지 상용화하는 게 목표예요. 그때가 되면 친구들도 바다에서 야라 버클랜드호를 만날 수 있을 거예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습도에 따른 눈송이의 모양을 분석해 ‘눈결정 형태학 도표’를 만들었지요. 하지만 실제 자연에서 만들어지는 눈은 나카야 우키치로의 도표대로 나타나진 않아요. 현대 과학자들도 아직 눈송이가 특정한 모양을 띠는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지요. 다만, 눈송이는 주변의 습도가 높을수록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뚜뚜우, 비밀 신호 전송! 모스 전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했어요. ● 미션 2 -아두이노로 컴퓨터와 연결하라! 이번 수업시간에 만든 전신기에는 실제 ‘모스 전신기’에는 없는 부품이 하나 있어요. 바로 작은 컴퓨터라 불리는 ‘아두이노’지요. 아두이노는 2005년 이탈리아 마시모 반지 교수가 교육용으로 개발한 도구로, 다양한 센서나 부품을 연결하고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