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래"(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1, 나노미터. 감히 상상조차 되지 않는 나노미터 세상에 바이러스가 있다.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바이러스의 영향을 받아왔지만, 그 실체를 눈으로 보게 된 것은 불과 100년도 되지 않았다. 그런데 바이러스의 모양을 관찰해 보니 놀랍게도 기하학적인 구조를 하고 있었다.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 ...
- [교육] 또 다른 세계,토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도넛 모양인 토러스가 나온다. 토러스는 차원과 어떤 관계일까?지구가 둥글다는 주장은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지구가 구 모양이라고 믿기 시작한건 훨씬 나중의 일이었다. 극지방과 일부 대륙의 중 심부는 19세기까지 지도로 그려지지 않았다. 남극과 북극을 포함한 모든 지역을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수 없었음이 분명한 드마니시 3444호 화석의 주인공은 (아마도 누군가의 도움을 받으며) 오래 살았다. 이유 없이 이웃을 죽이는 얼굴도 인간이지만, 혼자 힘으로 살아내지 못하는 이웃을 보살피는 얼굴도 모두 똑같은 인간의 얼굴이라는 사실이 경이롭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폭력과 테러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일반적인 날씨다. 게다가 화성 대기에는 수증기가 거의 없어 모래 폭풍이 지구보다 오래 지속된다. 즉 우주복 없이는 한 발자국도 밖으로 나갈 수 없다. 주거모듈 안에 여분의 우주복이 있지만, 다른 대원의 것으로 크기가 달라 착용하기 어렵다. 화성에서 첫 번째 작업이 옷을 만드는 일이 될 줄은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뒤, 세포를 터뜨리면서 퍼져 나갑니다. 게릴라처럼요. 그런데 드물게, 바이러스가 세포에 오래 머무는 쪽으로 유전자 발현을 바꿀 때가 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때 숙주세포도 물질대사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바꾼다는 점이죠. 전 이걸 ‘세포와 바이러스의 협상’이라고 부릅니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인사이트를 이용해 각 선수들의 공 점유시간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한 명이 공을 오래 잡고 있지 않도록 지도했다. 선수들끼리 공을 빨리 주고받는 전략 덕분에 독일은 24년 만에 월드컵에서 우승할 수 있었다. 최근엔 축구뿐 아니라 테니스, 미식축구, 핸드볼, 하키, 농구 등다른 구기종목에도 ... ...
- 깨진 원형 유물, 어떻게 복원할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발굴된 유물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유적지에서 발굴된 토기는 사람들이 한 지역에 오래 머물며 생활했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토기는 식재료를 끓이고 데치고 삶는 등 다양한 조리방법을 가능하게 했고, 보관과 운반도 쉽게해줬다. 고인돌 같은 무덤에서는 사람 뼈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물이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진화했으리라 추정했다.한동안 과학자들은 전자의 가설을 더 받아들였다. 독 분비선이 오래 전에 먼저진화했다면 뱀의 조상인 도마뱀 무리에서 독을 가진종이 많아야 한다. 하지만 독을 가진 도마뱀은 아메리카독도마뱀과 멕시코구슬도마뱀, 겨우 2종만 알려져있었기 때문이다.2006년 프라이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쿼크는 모두 여섯 종류가 있는데, 이들 사이에서는 서로 변환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실험물리학자들은 세 종류의 중성미자 사이에서도 변환이 일어나는지 궁금해 했다. super - kamiokande 일본에는 대통일이론에서 예측한 양성자 붕괴 현상을 관측하기 위해 1983년에 지은,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 경쟁에서 수원청개구리가 불리하다고 해요.사실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는 아주 오래 전부터 공존해 왔어요. 그러니 두 종이 함께 살기 위한 나름의 규칙을 만들었을 거예요. 바로 서로가 활동하는 시간과 장소를 달리 하는 거지요. 예를 들어 같은 공간에 살더라도 매는 낮에 활동하고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