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길고 짧은 건 직접 재봐야 알아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수콤이가 책상에 학용품을 꺼내놨어요. 필통도 있고, 연필, 지우개, 수첩도 있네요. 학용품마다 길이가 어떻게 다를까요? 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을 이용해서 길이를 비교할 수 있어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7화. 샤롱가 납치 사건의 대 반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아까 누가 ‘남은 사람은 매니저뿐’이라고 말하는 걸 듣고 깨달았어요. ‘소거법’을 이용하면 알 수 있다는 걸요.”“소거법?”“가능성이 없는 것을 하나씩 제외하다 보면 마지막에 남는 게 답이라는 거예요. 용용도 확인했지요? 난방실에는 창문도 없고, 드나들 수 있는 통로도 전혀 없었어요. ... ...
- [인터뷰]“혁신 교육과 세계적 연구, 창업이 공존하는 공대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회심의 계획은 뒤에 나왔다. “이를 위해 학술적으로 우수한 연구는 물론, 실제로 사회에 이용될 수 있는 연구, 산업체에 쓰일 연구를 장려하려 합니다.”이 학장은 지난해 9월 1일 제30대 서울대 공대 학장으로 취임했다. 이 학장은 광학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의 석학으로 국제전기전자공학회 ... ...
- 손으로 빚은 식재료 풍성한 식탁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커피의 풍미를 높이기 위해 보통 발효 과정을 거치는데, 여기에 쓰이는 미생물을 이용한 것입니다. 미생물은 커피를 발효시키기 위해 다당류 분해효소를 분비하고, 알칼로이드 화합물의 전구체를 합성해냅니다. 커피 원두 없이도 알칼로이드 화합물을 생산, 발효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컴파운드 ... ...
- 뉴 스페이스를 이끌고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성장한 계기다.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NST) 역시 소형 위성으로 획득한 영상과 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회사다. 지난해 12월 9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NST 연구소에서 오형직 운영이사와 이정규 위성개발본부장, 신진영 연구원을 만났다.NST는 50kg 미만 ... ...
- [과학동아 키즈] 밤을 밝히는 전등이 모두를 공평히 비추길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하나로 묶어 대용량 공업용 전력시설을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를 이용해 지역 주민들의 소득을 높이는 사업도 내 임무였다. UNDP에서 활동을 마친 뒤 한국으로 돌아와 KOICA에 입사했다. 이번에는 아프가니스탄으로 떠났다. 내가 몸담았던 아프가니스탄 지방재건팀(PRT)은 한국 민간, ... ...
- [기획] 인공 눈 과학자가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구름씨를 하늘에 뿌려 맑은 하늘을 만들었어요. 러시아도 전승기념일에 13대의 항공기를 이용해 약 70년간 맑은 하늘을 만들고 있죠. 미리 비를 만들어 수증기를 없애 원하는 날에 하늘을 화창하게 만든 거예요. 아쉽게도 소풍을 가는 등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 마음대로 날씨를 바꿀 수는 없어요. ... ...
- [특집] 꼭꼭 숨어라~ 규칙 다 보인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유명한 수학자들도 달력에 관한 수학 문제나 공식을 만들곤 했어요. 요즘에는 달력을 이용한 보드게임도 즐길 수 있지요. 달력이랑 놀다 보면 수학과도 친해질 수 있답니다 ... ...
- [배우며 놀자, 똑똑하마] 다 물어버리겠다~! 악어 집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직접 확인하기는 어렵겠네요. 지레를 이용한 도구는? 우리 주변에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물건이 많이 있어요. 병따개와 가위, 손톱깎기, 장도리(한쪽은 못을 박을 때, 다른 한쪽은 둘로 갈라져 있어 못을 뺄 때 쓰는 도구) 등이지요. 놀이기구인 시소에도 지레의 원리가 숨어있어요. 몸무게가 다른 ... ...
- [과학뉴스] 수능 생명과학Ⅱ 출제 오류, ‘진실을 외면해야’ 답을 낼 수 있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짧은 날개 개체 수/검은색 몸 개체 수는 집단 I에서 8/9’라는 조건이 있는데, 이를 이용하기 위해 집단 I에서 긴 날개와 짧은 날개 개체 수를 각각 계산하면 방법에 따라 일부 유전형의 개체 수가 음수가 되거나, 부분의 개체 수가 전체 개체 수보다 더 많아지는 결과가 나온다. 김종일 서울대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