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증거
보증
확증
검증
확인
논증
d라이브러리
"
증명
"(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상징하는 알파벳으로 사용되고, ∞와도 그 모습이 닮아서다. 무한의 개념을 수학적으로
증명
한 칸토어기호 ∞가 쓰이기 시작한 건 17세기였지만, 이때까지도 무한이라는 개념은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은 상태였다. 무한은 그저 인간이 셀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매우 큰 수 정도로 여겨질 뿐이었다. ... ...
[수학뉴스] 컴퓨터 인공지능은 수학으로 마술을 부린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창조해냈다. 연구팀의 피터 맥오웬 교수는 이 연구에 대해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증명
하는 좋은 방법”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 연구를 심리학 연구의 한 축으로 만들어 준 셈”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심리학프론티어’ 11월 16일 자에 실렸다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오펜하이머가 거대한 질량의 별이 수축하면 블랙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
했다. 1967년 존 휠러가 처음으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년 블랙홀로 추측되는 곳이 X선 탐사 위성에 의해 발견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빛나는 블랙홀 검은 구멍의 수학적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아인슈타인의 주장은 실제 태양을 스쳐 지나가는 빛이 휘어지는 것이 관측되면서 사실로
증명
됐다. 블랙홀이 빛나는 이유블랙홀은 어떻게 생길까? 큰 질량을 가진 별이 생명을 다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스스로의 중력에 의해 천체가 붕괴한다. 붕괴가 지속되면 천체가 쪼그라들면서 전체가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두 개의 유전자만 있어도 자손에게 정상적으로 유전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
된 셈이다. 물론 생쥐에게서 이랬다고 사람도 그런 것은 아니다. 사람을 포함한 영장류의 Y 염색체에는 EIF2S3Y 유전자가 없다. 하지만 사람 역시 EIF1AY라는 매우 유사한 유전자를 갖고 있다. 실제 기능도 비슷하다.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에이스가 중요하다는 것은 야구의 오랜 상식이다.에이스가 정말 중요한지 과학적으로
증명
해 보자. 메이저리그 최고의 투수를 뽑는 ‘사이영 상’은 에이스의 좋은 기준이다. 포스트시즌에 올라온 두 팀 선발진의 사이영 상 투표 점수를 모두 더해 비교하면 양 팀의 에이스 여부를 확인해 볼 수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번호만 붙이면 되니 간단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만만치 않다. 야생동물이 스튜디오에서
증명
사진 찍듯이 가만히 있어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패턴을 분석하는 컴퓨터공학자가 등장한다. 영국 브리스톨대 컴퓨터과학과 틸로 버거트 교수는 동물개체식별 분야의 선구자다. 그는 아프리카 펭귄이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안 낸다’고 대답했죠.” 그 학술지는 논문을 받아줬고, 이듬해 이 개념이 옳다는 것을
증명
하는 논문을 연달아 냈다. 지금 이 소장은 일명 ‘아바타 쥐’ 연구를 하고 있다. 환자의 암 조직을 쥐에 넣어 암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는 연구다. 2년 전에는 서울대 의대와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처음엔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개발된 한국조폐공사 고유의 복사방해패턴은 인감
증명
서 같은 각종 국가 인증서와 대학
증명
서, 의약품 처방전, 온누리상품권 등에 적용됐다. 하지만 곧 불만이 터져 나왔다. 문서를 꼭 복사해 봐야만 위조 여부를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숨겨진 패턴을 볼 수 있는 ‘위·변조 방지 돋보기’도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형광 단백질들을 얻을 수 있었다. 2006년 실험을 통해 단일 분자 현미경이 가능함을
증명
한 그는 결과를 ‘사이언스’에 발표한다. 이 논문은 초분해능 형광현미경 논문 중에 가장 인용수가 많다. 베치그의 연구는 머너 덕분 머너는 세계 최초로 ‘분자 하나’를 탐지한 과학자다. 그는 IBM에서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