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48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자들 보듬던 의사였는데"…SNS에 '피살 의사' 애도 물결
연합뉴스
l
2019.01.02
냈다. 이와 별도로 임 교수를 기억하고 애도하는 의료계 인사가 추모
그림
을 만들고, 이
그림
이 SNS 중심으로 확산하는 중이다. 신경정신의학회는 "고인은 본인에게는 한없이 엄격하면서 질환으로 고통받는 많은 이들을 돌보고 치료하고 그들의 회복을 함께 기뻐했던 훌륭한 의사이자 치유자였다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첫날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플라이 바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01
근접해 지나가는 뉴호라이즌스호의 모습을 상상한
그림
이다.-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명왕성 무인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새해 첫날 태양계 최외곽에서 역사적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해왕성 궤도보다 바깥에 있는 카이퍼 벨트의 소행성 '2014 MU69'에 접근해 '플라이 바이(Fly ... ...
머리 하나에 몸은 둘 강아지?
팝뉴스
l
2018.12.28
이상하다. 사진에 눈이 하나가 나와야 맞는데 둘이다. 귀도 아래쪽에 있다. 수상한
그림
이다. 사진은 절묘한 순간 포착 사진이다. 두 마리의 개가 놀고 있는 걸 촬영했는데 얼굴이 겹친 순간이 포착된 것이다. 사진 속 견공들은 ‘괴물 강아지’가 아니라 즐겁게 노는 평범한 강아지들이다. ※ ... ...
화가가 된 우주인부터 NASA 산증인까지, 2018년 별이 된 우주인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8
묻었다는 사실을 이용해,
그림
에 우주복 조각을 넣기도 했다. 그가 아니면 그릴 수 없는
그림
을 그린 것이다. 최초의 달 착률을 한 지 40주년이었던 2009년 열린 그의 작품 전시회 제목은 ‘다른 세계에 선 최초의 화가’였다. 그는 이후 9년 뒤 타계할 때까지, 그는 달에 다녀온 최초의 화가이자, ... ...
우주에서는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보낼까
2018.12.21
훨씬 더 즐겁게 임했다”고 말했습니다. 스카이랩. NASA 크리스마스 카드에 로켓
그림
이? 좀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크리스마스 카드에 자랑스럽게 그려진 추억의 로켓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1947년 세워진 호주의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의 우메라(Woomera)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로켓을 ... ...
유전자가위와 나노 접목한 새 유전자 진단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기능을 제거한 유전자가위를 넣어 목표 유전자만을 골라 빛으로 검출하는 기술을 표현한
그림
. -사진 제공 서울대 공대 바늘로 몸 안의 시료를 직접 채취하지 않고도 목표한 유전자를 정확히 찾아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유전자 진단법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김성재 ... ...
아파트 층간 소음 전쟁
팝뉴스
l
2018.12.19
제공 아파트 건물의 유리창에
그림
이나 글처럼 보이는 것이 붙어 있다. 자세히 보니 영어 문장이다. “저 사람이 아주 시끄러워요”라는 글 앞에 화살표를 붙여 놓았다. 즉 위층 사는 사람은 아래층이 시끄럽다고 하고, 아래층은 위층 사람들이 심한 소음을 일으킨다고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 ...
익룡의 원시 털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네 종류의 피크노파이버가 익룡 어느 부위 외피에서 발견됐는지 표시한
그림
. 맨 위
그림
과 비교해 보면 각기 다른 피크노파이버를 볼 수 있다. - 사진 제공 네이처 생태와 진화 ... ...
세포 속 액체방울로 게놈 조절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기술의 개념도(왼쪽 위)와 액체상 응집체와 유전체의 역학적 상호작용을 나타낸
그림
. - 사진 제공 서울대 공대 물에 기름을 떨어뜨리면 서로 섞이지 않고 기름 방울을 만든다. 이렇게 현상을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물질이 서로 경계면을 이루며 분리되는 현상을 ‘상분리’라고 부른다. 세포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13일 여러 사람이 뫼비우스띠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돼 있음을 연상케 하는
그림
을 표지에 실었다. 양자의 특성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되는 뫼비우스띠를 이용해 양자 암호키를 통해 여러 사람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기존의 양자암호를 이용한 원격전송기술은 일대 일로 두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