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뉴스
"
7
"(으)로 총 16,926건 검색되었습니다.
'젓가락 팔'로 회수한 스타십…"상상이 현실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발사체를 밀어 올리는 힘인 추력이 가장 세다. 1
7
00만 파운드(약
77
00t)의 추력을 낸다. 보잉
7
4
7
항공기 63대가 내는 추력과 같다. 탑재 중량 역시 최고다. 스타십은 고도 200km의 지구 저궤도에 150t의 탑재체를 쏘아 올릴 수 있다. 동일한 고도 기준 새턴5는 118t,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 ...
인공지능 이용해 신종 RNA 바이러스
7
만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AI가 극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까지 찾아낸 것이다. 약 16만 개의 RNA 바이러스 중
7
만500개는 지금껏 학계에 보고 되지 않은 바이러스였다. 연구에 참여한 에드워즈 홈스 시드니대 교수는 "단일 연구에서 가장 많은 수의 새로운 바이러스를 발견한 연구로 바이러스에 대한 인간의 지식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단백질 구조 예측 넘어 '새 단백질' 설계까지
2024.10.13
유사했으며 이는 인류가 컴퓨터를 활용해 설계한 첫 인공 단백질의 탄생을 의미했다. Top
7
의 성공 이후 베이커 교수의 연구팀은 꾸준히 단백질 설계 연구를 이어갔다. 그러나 항상 연구의 걸림돌이 되는 부분이 있었다. 그것은 바로 고정확도 단백질 구조 예측 기술의 부재였다. 단백질 설계의 핵심은 ... ...
"연구책임자는 치어리더"…제자가 말하는 베이커 교수의 이유 있는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진행 중이다.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도 2019년 5월 베이커랩에 합류해 2022년
7
월까지 일했다. 베이커 교수는 불과 3년 전인 2021년 백 연구원과 함께 구글의 단백질 구조 예측 AI '알파폴드'에서 영감을 받아 단백질 설계 AI 모델인 '로제타폴드'를 만들었다. 수 분 내로 복잡한 단백질 구조를 ... ...
[사이언스영상] 머스크 로보택시, 2026년 가능 vs 불가능?
SEIZE
l
2024.10.12
제공 미국 자동차 회사 테슬라가 로보택시 공개 행사를 열었다. 지난 10일 저녁
7
시(현지 시간) '우리, 로봇(We, Robot)'이라는 이름의 행사가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워너브라더스 영화 스튜디오에서 열렸다. 행사에서는 로보택시 '사이버캡' 50대를 참가자들이 시승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 ...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위해서입니다. "어때요? 배가 어느 정도 고픈가요?" 필자는 이날 실험을 위해 기상 후
7
시간 동안 공복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실험을 위해 아침과 점심을 걸렀습니다. "아무거나 먹고 싶을 정도로 정말 배가 고프다"는 피실험인에게 tRNS 자극이 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자극은 20분 동안 ... ...
[동물do감] '오페라하우스' 설계하는 이 새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노래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암컷을 매혹한다는 논문을 지난달
7
일 국제학술지 ‘행동 생태학’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수컷 바우어새가 마치 오페라하우스를 설계하는 건축가처럼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작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귀에 손을 대면 외부 소음이 ... ...
우주항공청-KAI, 미래항공기·수송기 등 항공산업 발전 방안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10일 간담회를 갖고 항공 산업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7
월 진행된 기업 간담회의 후속 조치다. 우주청이 관련 기업에 직접 방문해 항공 관련 개발 현황과 애로사항을 듣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간담회에 참석한 김현대 우주청 항공혁신부문장은 KAI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연구를 진행한 결과 러브컨 교수는 2000년 또 다른 마이크로RNA인 let-
7
을 발견하였는데 let-
7
은 예쁜꼬마선충에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으면서 세포 내에서 핵심적 기능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이 놀라운 발견 후로 분석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현재까지 100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0만 달러(약 83
7
3억 원) 규모이던 전 세계 AI 신약 개발 시장은 매년 연평균 45.
7
%씩 성장해 202
7
년엔 40억 350만 달러(약 5조 4969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AI는 신약 개발 전반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나 알파폴드의 활약이 주목되는 건 신약 후보 물질 발굴부터 임상 1상까지 이어지는 과정이다.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