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테리아가 불로장생약 만든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투여하자 기대수명이 암컷은 평균 38%, 수컷은 평균 28% 더 길어졌다고 ‘네이처’ 7월 16일자에 발표했다.라파마이신은 1965년 거대 석상으로 유명한 이스터섬의 토양 시료에서 찾은 스트렙토마이세스 하이그로스코피쿠스(Streptomyces hygroscopicus)라는 박테리아가 분비하는 물질이다. 원래 천연항균물질로 ... ...
- 1박 2일 캠핑의 과학과학동아 l2009년 08호
- 그 전에 캠핑 초보의 좌충우돌 체험기를 살짝 들춰 보자.TENT - 길이 9km의 실이 15g2009년 8월 ㅇ일 오후 4시 날씨 : 맑음오늘은 ‘아기다리~고기다리~던’ 휴가가 시작되는 날. 내가 캠핑의 세계로 처음 발을 들여놓는 날이기도 하다.‘집 나가면 개고생’이라는 모 TV 광고가 떠올라 큰맘 먹고 고가의 ... ...
- 좀비PC앞세운 디도스 공격의 진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만든 요소가 사이버 세계를 최근 발칵 뒤집어 놓은 사건에서 고스란히 묻어난다. 7월 7일부터 시작돼 10일경 매듭지어진 ‘7·7 인터넷 대란’이다. 갑자기 날아든 공격, 불안에 떠는 사용자, 알려지지 않은 공격 이유가 바로 이 대란의 핵심이었던 것이다.청와대, 국회 등 주요 국가기관 사이트를 접속 ...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실리고 있는 아라온 호는 올해 10월 동해로 장비 성능을 점검하기 위해 출항한다. 12월에는 남극 주변 바다를 향해 출발해 쇄빙 능력을 시험할 예정이다.얼음 깨는‘싸움의 기술’은 박치기와 누르기암초를 제외하면 배의 정상적 항해를 가로막는 대표적인 장애물은 유빙(遊氷), 즉 바다를 떠다니는 ... ...
- 태양 흑점 실종, 지구온난화 영향 없나과학동아 l2009년 08호
- 발표됐다.첫째, 23번째 태양 활동 주기가 2008년 12월에 끝났으며, 그 주기는 ‘12년 7개월’로 1823년 이래 가장 길었다. 둘째, 다음 태양 활동 주기의 흑점 최고 개수는 90개 정도로 평균 이하에 머물 것이다. 셋째, 앞의 두 가지 사실이 맞을 경우 다음 극대기는 2013년 5월 정도가 될 것이다.결론적으로 ...
- 첨단장비 활용해 미래 과학자 키우는 엑스사이언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연구원처럼 MRI나 레이저 현미경으로 실험엑스사이언스는 1년 내내 진행되는 사업이지만 월마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험실을 개방해 과학자들이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 장비를 사용하는 방법, 이 장비를 통해 앞으로 할 수 있는 연구 등을 소개한다.참가하고 싶은 ... ...
- “다윈과 진화과학의 지적 소나기에 흠뻑 젖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그 이상이었다. 특히 영국식으로 고풍스럽게 지어진 건물들이 인상적이었다. 6월 29일 월요일 오전, 포럼 기간 동안 묵게 될 임페리얼칼리지에 도착했다.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임페리얼 칼리지는 플레밍이 페니실린을 발견한 곳으로 자연과학과 공학 계열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 ...
- 날아라, UFO!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8호
- 4월은 과학의 달입니다. 국립과천과학관의 ‘종이비행기 종이로켓 전국대회’ 같은 다양한 과학대회가 열리고 있죠. 이런 과학대회에 참여하기 어렵다구요? 그럼 나만의 날리기 대회를 해 보면 어떨까요? 우주를 향해 가는 UFO를 만들어 봅시다.UFO는 ‘미확인비행물체’(Unidentified Flying Object)의 각 ... ...
- 북한 로켓 발사 소동 위성인가, 미사일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8호
- 평화적인 목적이라면 다른 어느 나라도 로켓을 발사하는 연구를 막을 수 없어요. 7월에 발사 예정인 우리나라의 KSLV-1도 과학기술위성을 발사할 목적이라는 것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살펴보았듯 같은 로켓도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무서운 ...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우 박사 덕분에 제주 서귀포는 현재 국내 최대의 감귤 생산지가 됐다.우 박사는 1959년 8월 10일 지병으로 사망했다. 우장춘 기념관에서는 매년 이날 그의 업적을 기념하는 추모행사를 연다. 하지만 이를 알고 찾아오는 이는 그다지 많지 않단다. 육종기술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몸소 보여준 우 박사에 ... ...
이전1081108210831084108510861087108810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