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환
병
병환
우환
병고
근심
걱정
d라이브러리
"
질병
"(으)로 총 1,831건 검색되었습니다.
예방주사 대체하는 백신 바나나
과학동아
l
200208
파악되고
질병
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지표가 개발될 것이다. 또한 개인의 체질에 따라
질병
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식품이 실용화될 것이다. 식중독균 현장서 검사 가능현재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식품의 안전성 역시 2010년에는 상당부분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유전체학의 발전과 더불어 ... ...
1. 인간 이해 지름길, 침팬지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08
인간의 게놈정보를 비교해 인간에게만 나타나는 특이적인 SNP 정보를 알아내면, 인간의
질병
에 관련된 유전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 이에 대한 해답은 아직 모르지만, 올해 컨소시엄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침팬지의 22번 염색체의 염기서열 약 35Mb(3천5백만개)가 완전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07
눈을 감거나 이를 지긋이 악물고 딴 곳을 본다. 꼭 통증만이 문제가 아니다. 상처 부위로
질병
에 감염되는 것은 아닌지 은근히 걱정된다. 또 쓰다 남은 주사바늘이나 혈액을 처리하는 일도 골치다.만약 피를 뽑지 않고 혈액 속의 성분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떨까. 혈액검사와 관련된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07
인간의 게놈지도가 완성된 뒤, 생명과학계의 관심은 단백질로 쏠리고 있다. 생명현상의 바탕이 되는 단백질의 구조를 밝혀 신약 개발을 앞당기고 있는 ... 치매와 같은 불치병 정복에 가장 유용한 도구다. 구조생물학자들의 땀방울에 의해 모든
질병
이 정복되는 인류의 미래를 기대해보자 ... ...
자신의 세포 이용해 장기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07
배아를 파괴해 얻는 배아줄기세포와 달리 자신의 몸에서 얻을 수 있어 윤리적 문제 없이
질병
치료에 필요한 장기나 조직을 만들 수 있다.그런데 성체줄기세포는 그동안 배아줄기세포와 달리 생체 내에서 다른 세포로 변화하는 현상이 확인되지 않아 실용성을 의심받았다. 이번 실험의 성공으로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07
등장그러나 무엇보다도 나노 약물전달시스템의 우수한 점은 표적성이다. 원하는 특정
질병
부위에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항암제 투여에 현재 응용되고 있다.현재까지 개발된 항암제의 투여 방법은 암세포에만 존재하는 특별한 항원 수용체를 약물에 부착시켜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
과학동아
l
200207
세기 이전에는 왜 페스트에 의한 특별한 피해가 없었는지 등의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즉
질병
의 역사성에 주목하는 것이다.이밖에도 오랫동안 수많은 병을 앓아온 태양왕 루이 14세가 최후를 맞이하는 순간을 주변 사람들의글과 회상록 등을 참고해서 쓴 일지 형식의 글 등 곳곳에 재미있는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06
한해 유행에 수십만명이 이 병으로 목숨을 잃었다. 이런 역병과 함께 조선 사람은 많은
질병
을 몸에 달고 살았다. 누구나 기생충을 몸 안에 가지고 있을 정도였으며, 학질이나 안질 또는 매독 같은 성병도 흔했다.사실 ‘우리’라는 말은 비단 지금 이 땅에서 살아가는 사람만을 지칭하는 개념이 ... ...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06
항암이나 콜레스테롤 저하 성분이 강화된 채소와 곡물이 속한다. 특정인이 앓고 있는
질병
을 치료까지 할 수 있는 보다 기능적인 작물이다.이를 실현시키는데 필요한 유용 유전자는 바로 유전체학에 근거한 대량 탐색 과정에서 발굴될 것이다. 유전자 이식 기술은 더욱 발달해 보편적이고,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6
만약 단백질이 접히는 메커니즘이 밝혀진다면, 이는 곧바로 신약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
질병
을 일으키는 단백질이 어떤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지는 현재도 알 수 있다. 그런데 접히는 모양에서 실질적으로 단백질의 기능이 밝혀지기 때문에, 이 단백질의 기능을 차단하려면 그 구조가 명확히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