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독자"(으)로 총 2,8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개월 동안 일곱 가지 단서 활동을 통해 총 일곱 임금의 실제 초상화를 만나봤습니다. 독자 여러분은 어떤 초상화가 가장 기억에 남았는지 궁금하네요. 조선 시대에는 어진 외에도 수천 점이 넘는 초상화가 그려졌습니다. 선조에게 초상화가 어떤 의미였기에 이토록 많은 초상화를 그렸을까요 ...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것이 많기 때문에 세계 각국의 착시 설계자가 점점 더 늘어나지 않을까요? 독자 여러분도 저를 만난 것을 계기로 착시의 매력에 퐁당 빠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생긴 제 얼굴도 예쁘게 봐주셨으면 하고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눈을 속이는 착시 설계자PART 1.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환경 등 수사의 단서를 얻는 것도 수중과학수사의 중요한 영역 중 하나다. 이번 파트는 독자 여러분이 직접 수사관이 되어 바닷가에 나타난 연쇄살인범을 쫓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수중시체에는 수서곤충, 복족류, 플랑크톤, 갑각류, 어류, 연체동물, 극피동물 등 갖가지 생물이 찾아온다.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생각보다 훨씬 오묘하고 복잡하다.요즘 간장 하면 백종원의 ‘만능간장’을 떠올리는 독자가 많을 거예요. 모든 음식을 맛있게 해준다는 환상적인 소스. 하지만 간장의 진짜 맛은 좀더 소박하지 않을까요. 어렸을 때 어머니께서 뿌려주시던 그 간장처럼요. 그런데 어머니께서는 같은 간장을 놓고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용하는 데다가 수력, 풍력과 같은 대체 에너지를 많이 얻을수 있는 환경도 아닙니다. 독자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 개발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또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발생하는 플라즈마도 산업적으로 큰 의미가 있고요.전소리: 플라즈마는 어떤 산업에 주로 쓰이나요?황용석: 물질이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2500가지나 되는 불가능한 도형을 만들었어요. 펜로즈 경은 로이터스바르드보다 늦었지만 독자적으로 불가능한 삼각형을 만들었다는군요.마우리츠 에스허르와 같은 화가도 불가능한 도형에서 영감을 얻어 재미있는 작품을 그렸어요. 수직으로 떨어지는 폭포의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평면에있는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표준으로 삼고 있습니다.여러분도 한 번쯤 설문조사에 응해 봤을 겁니다. 어떤 독자는 직접 설문조사 질문지를 만들어 반 친구들의 의견을 묻기도 했을 겁니다. 하지만 내가 만든 질문이, 혹은 내가 하고 있는 설문조사의 질문이 잘못된 여론을 형성하는 건 아닌지, 애초에 문제 차제가 잘못된 건 ...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키가 쑥쑥! 자라는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길러보세요. 그러면 몸과 마음이 튼튼해질 뿐만 아니라, 키가 쑥쑥 자랄 테니까요.다른 독자 여러분도 생활 속에서 궁금한 점이 생겼을 때 사연과 함께 의견을 이메일(zzunga@donga.com)로 보내주세요. 이 기자가 여러분의 고민이나 호기심을 수학적으로 밝혀드릴게요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다포 양식이 혼합돼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익공식을 독자적으로 개발했습니다. 익공식은 새의 날개를 닮은 나무 조각인 ‘익공’을 기둥 사이를 잇는 창방과 수직으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정전에서는 우리나라 고유의 익공식 다포를 볼 수 있습니다.못 없이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영화감독, 배우, 시나리오 작가, 음악가 등과 대화하며 느끼고 깨달았던 것들을 토대로 독자들의 눈높이를 맞춘다. 최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최초의 여성 소장이 된 파비올라 지아노티 박사에 대한 질투심을 드러낸 부분에서는, 그의 유머감각에 웃음이 나온다. 물리가 비록 복잡하고 어렵지만,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