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치"(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기준이 있어. 바로 지역별 기상관측소에 첫눈이 오느냐 아니냐지. 비가 왔는지는 전국에 설치된 자동기상관측장치 600여 대가 자동으로 판단해. 사람의 도움 없이도 관측이 가능하지. 하지만 눈은 아직까지 관측 장비로 알 수 없어서 사람이 직접 보고 판단하고 있어.우리나라는 자연 현상에 대한 ...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필요한 것들을 바로 공급받기 어렵고, 화물의 양도 한정돼 있다. 즉 ISS에 3D 프린터를 설치한 뒤 우주선에 분말재료를 싣고 가는 게 더 경제적일 수 있다. 지난해 8월 NASA는 3D 프린터로 직접 부품을 만들어 15년 된 ISS를 보수하는 장면을 유튜브에 공개했다.6월 12일 공식 발표에 따르면,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매우 긴 편이라 바이러스가 천수를 누릴 수 있다. ❹ 널리 퍼져 있다. 인간과 설치류를 제외하고는 가장 넓은 영역에 걸쳐 살고 있다. ❺ 늘 체액을 분출한다. 길을 찾기 위해 초음파를 내는데, 이때 코에서 바이러스를 담은 분비물이 나온다.박쥐는 바이러스를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도 어떻게 안전한 ...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이런 분석 방법에는 몇 가지 제약이 따른다. 우선 상대방의 몸에 미리 특수한 장비를 설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직접 대면한 상태에서 감정이 발생하는 순간에만 감정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감정만 판단할 수 있고, 과거의 감정은 측정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는 한 알아낼 방법이 ...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들어왔다. 시험장 내부가 온통 하얀색인 이유를 그제야 어렴풋이 알 것 같았다.“천장에 설치된 카메라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모션캡 쳐 시스템이에요. 이 시스템이 전체 드론의 위치를 인식 해 중앙컴퓨터에 전송하면, 컴퓨터가 그 정보를 바탕으 로 각 드론에 ‘자세를 제어하라’ ‘옆으로 얼만큼 ...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생각만큼 나오지 않을 때가 꽤 있다”며 한숨을 쉬었다. 한국에 돌아갔는데 현지에 설치한 장비가 고장나면 멀리서 발만 동동 구르게 된다. 채남이 연구원은 “전기가 없어 태양전지를 쓰는데 날이 흐리거나 비가 오래 오면 방법이 없다”며 “배터리가 먹을 것보다 더 중요하다”며 웃었다 ... ...
- 아이디어 발전소1 - 귀로 말하는 이어폰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말할 때 귀와 연결된 코 안(비강) 전체가 울리는 현상에 착안해, 기존 이어폰 줄에 설치돼 있던 마이크를 귀에 꽂는 스피커 속으로 넣은 것이다. 겉으로 보기엔 마이크가 없지만, 이어폰만 귀에 꽂아도 통화가 가능하다. 주변 소음은 전달되지 않는다.‘이어톡’이라는 이름을 붙인 제품은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비디오게임 산업에 쓰이는 ‘모션캡쳐 카메라’를 이용한다는 것. 다시 말해, 카메라 가 설치된 실험실 안에서만 드론 군집비행이 가능하다 는 얘기다. 만약 이들을 실제 세상으로 불러낸다면? 현 재 기술로는 기본적인 편대비행 조차 어렵다.드론을 야외에서 비행시키려면 GPS시스템을 이용해 야 ... ...
- 큰빗이끼벌레, 너 정말 억울하니?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있으며 부영양화된 물에서 잘 서식한다.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은 4대강 곳곳에 보를 설치하면서 유속이 느려졌고, 이에 따라 부영양화도 심해져 큰빗이끼벌레가 살기 좋은 환경이 됐다고 본다. 이들은 올해 유난히 가뭄이 심해 부영양화가 더 심해졌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1차원인은 ‘보’라고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연구 가 필요하다. 처음에 말한 드론 군집 비행도 실험실에 서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해 위치를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자동차 내비게이션이 종종 건물이나 산을 뚫고(!) 가라고 오작동하는 걸 보면, 위 치를 인식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있다. 고층 빌딩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