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앞"(으)로 총 1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수동 찐팬을 만나다] (2)수학으로 동물을 구할 거예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기자단 게시판에 ‘펫샵에서 동물을 사면 안 되는 이유’라는 기사를 쓰기도 했어요. 앞으로도 동물을 보호하는 활동을 많이 하고 싶어서 수의사가 되고 싶어요. 수의사가 되려면 수학도 잘해야 한다고 들었어요. 을 통해 수학과 점점 친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 ... ...
- [특집] 헬러윈에 나타난 악마의 정체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갇혀 있던 악마가 핼러윈에만 밖으로 나와 모습을 드러낸다는 바로 그 집이었지요. 문 앞에 다다른 셋은 크게 심호흡을 했어요. “근데…, 누가 우릴 보고 있는 것 같지 않아?”그때였어요. 문이 ‘끼이익-’ 열리더니 눈을 뜰 수 없을 만큼 밝은 빛이 쏟아져 나왔어요. 세 아이는 빛으로 빨려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네이처 천문학’ 10월 1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0-021-01494-x테스는 항성 앞을 지나는 외계행성이 항성면을 통과할 때 항성이 내는 빛이 줄어드는 현상을 포착해 행성의 존재를 파악한다. 같은 방법으로 행성의 크기와 공전주기도 파악한다. 이번에도 TW 픽토리스 백색왜성의 별빛이 변하는 ... ...
- 넷플릭스가 안줘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오징어 게임 오락기'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아이디어가 떠올랐는지 갑자기 사무실로 뛰어들어갔습니다.숨숨 님이 보던 장면은 바로 앞에서 소개한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게임을 하는 대목입니다. 무표정한 얼굴로 게임 속 참가자들을 감시하는 귀여운(?) 영희의 얼굴이 인상 깊습니다. 넷플릭스가 만든 공식 굿즈에도 이런 영희의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잠수함을 검증한 기술로 전기선박에 도전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선박을 완성하는 게 목표다. 그는 “현재 전기추진 선박 기술은 노르웨이 등 유럽이 앞서 있고 국내에서 개발할 때는 주로 이들로부터 부품을 사왔다”며 “전기추진 선박이 진정한 미래라면, 더딜지라도 부품을 국산화해야 한다”고 말했다.효율도 개선 중이다. 2025년 완성할 선박은 전기추진 방식 ... ...
- [이달의 책] 스노든 파일 외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수 있습니다.”2013년 6월 10일, 한 남자가 영국 언론 가디언과 미국 언론 워싱턴포스트 앞에 나섰다. 그는 미국국가안보국(NSA)이 프리즘(PRISM)이라는 시스템으로 전 세계 통화기록과 인터넷 사용 기록을 감청, 수집했다는 내용을 폭로했다. 전직 NSA 요원이었던 에드워드 스노든이었다.미국 컴퓨터 회사 ... ...
- [특집] 우주 탐험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중적외선 ~ 근적외선 파장 모두 잘 관측할 수 있대요. 앞으로 초기 우주에 대한 자세한 관측이 이뤄질 예정이랍니다. 외계 행성 관측 그동안 지상 및 우주망원경을 통해 새로운 외계 행성들이 많이 발견됐어요. 하지만 이러한 외계 행성이 어떤 대기 성분으로 이뤄져 ... ...
- [기획] 우리들의 수학, 놀이터! 매스펀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얻어 새로운 문제로 재탄생시키는 것도 충분히 좋은 출제 방식이라 생각하거든요. 앞으로도 함께 즐거운 폴리매스 활동해 보자고요! 열심히 활동하다 보니 이런 좋은 상을 받게 된 것 같아 기쁩니다. 익숙하면서도 흥미로운 문제를 내기 위해 이미 있는 퍼즐에 저만의 조건을 추가해 문제를 만들곤 ... ...
- [과학 뉴스] 서울에서 열린 'P4G 정상회의' 녹색 미래를 그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거부 의사를 표현했어요. 사전 행사가 진행되고 있던 27일에는 썩은 당근을 행사장 앞에 쏟는 퍼포먼스가 화제를 일으키기도 했답니다. ●IoT : ‘Internet of Things’의 약어로, 사물끼리 모두 인터넷으로 연결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기술 ... ...
- [4컷 만화] 해조류 덕분에 40년 만에 시력을 찾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일부 되찾게 했다고 밝혔어요.실험에 참여한 시각장애인은 망막색소변성증●으로 40년간 앞을 보지 못했어요. 망막에서 빛을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단백질인 옵신이 없어서 빛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전기신호를 뇌로 전달하는 신경은 정상적으로 작동했어요. 연구팀은 옵신을 만들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