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행 탐사선, 7월에 몰려든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톈원 1호에는 궤도선만이 아니라 착륙선과 탐사로버도 함께 실려요.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문홍규 책임연구원은 “궤도선과 착륙선, 탐사로버를 모두 한꺼번에 보내는 것은 세계 최초”라며, “무거워지고 실패 확률이 높아 꺼리던 방식”이라고 설명했어요.톈원 1호가 내년 2월 화성 궤도에 ... ...
- ‘항공샷’ 찍을 헬기, 날려도 됩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퍼시비어런스의 또다른 계획은 지구에서도 유행인 항공샷 촬영! 인류 최초로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의 하늘에 헬기를 날릴 계획에요. 대기도 적고 날씨도 추운 화성에서 과연 헬기를 날릴 수 있을까요? 지구 밖에서 최초로 헬기 날린다!2019년 3월, NASA는 1월에 진행했던 헬기 ‘인지뉴이티’의 첫 ... ...
- 예술이 된 우주·과학동아천문대 소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또, 위성에 전파망원경을 설치하면 지금보다 먼 우주를 더욱 선명하게 관측할 수 있어 우주의 비밀을 풀 수 있을 거예요.” 특별이벤트 "니오와이즈, 나도 찍어 보자!" 니오와이즈 혜성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보고 싶은데 방법을 잘 모르겠다고요? 걱정마세요. 아래의 방법을 차근차근 따라하면 ... ...
- 화성님, ‘돌’ 좀 주워갈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이를 위해 퍼시비어런스는 암석 시료들을 지구로 보낼 준비를 할 거예요. NASA와 유럽우주국(ESA)은 2026년 시료를 회수하기 위해 화성샘플귀환(MSR) 임무를 시행할 탐사선을 발사해요. 탐사선이 2028년 화성에 도착하면, 시료는 2032년 지구에 올 예정이랍니다 ... ...
- [탐험대학] 생태, 인공위성, 공룡...집중 탐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연락을 받고 회수한 에피소드도 들려주셨지요.탐험대학 학생들은 두 팀으로 나뉘어 우주까지 띄울 풍선 위성을 설계하고, 어떤 메시지를 담을지 계획을 세웠어요. 박재필 멘토님은 ”열심히 만들어도 위성이 성공적으로 날지 못하거나, 회수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모두 배우는 과정으로 받아들이면 ... ...
- [가상인터뷰] 달, 45억 살 아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안녕? 나는 지금 우주로 나왔어. 달의 45억 번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서인데…. 응? 갑자기 나이를 8500만 살 줄여달라고? 이번이 45억이 아니라 44억 1 ... 달을 연구하다 보면 달뿐 아니라 화성, 나아가 우주에 대해서도 알게 될 거야! 그러면 우주여행도 가능해지겠지? 그때 달로 놀러오렴~ ... ...
- [특집] 아이디어3. 태양광 비행기, 초경량 소재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물리적 성질이 서로 달라요. 에어로젤은 단단하고, 미세격자금속은 유연하죠.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g의 에어로젤이 2500g의 무게를 버티는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어요. 다만 비금속 재료의 특성상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버틸 수 있는 힘보다 큰 힘을 가하면 깨져버린답니다. 반면 미세격자금속을 ... ...
- 비둘기 깃털에서 아이디어가 반짝! 태양광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의 실험맨, 정한길 기자예요. 최근 흥미로운 뉴스를 하나 봤습니다. 한국항공대학교에서 만든 태양광 무인 비행기 ‘KAU-SPUAV’가 지 ... 선임연구원), 배재성(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박상혁(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비행기는 가능하다”고 설명했답니다. _ 인터뷰배재성, 박상혁(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남극에서 태양광 무인 비행기를 날릴 거예요” Q 어떻게 하면 태양광 무인 비행기가 오래 날 수 있을까요? 일단 비행기의 무게가 가벼운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비행기 ... ...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질량은 200배 무거운 입자예요. 높은 에너지의 입자와 방사선으로 이뤄진 ‘우주선’이 우주에서 지구로 쏟아지다 공기층과 충돌하면 수없이 많은 뮤온이 발생해요. 지표면까지 내려온 뮤온은 가로와 세로가 각각 1cm인 평면을 1분에 평균 1개씩 지나요. 양 손바닥의 면적이 약 200cm2라면, 1분에 200개의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