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
추세
새짐승
흐름
날짐승
형편
경향
d라이브러리
"
조류
"(으)로 총 1,210건 검색되었습니다.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현재보다 10% 정도 더 지구에 가까워진다고 하면 그로 인해 훨씬 커진 인력을 갖게 된
조류
가 대부분의 대륙을 쓸어버릴 것이다. 물 공기 흙과 마찬가지로 지구의 천문학적인 환경도 어느 요소 하나 흠잡을 수 없을 정도로 생물들이 살기에 완벽한 환경을 이루고 있다.인류역사 이래 지구의 발생에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잡식성으로 여러가지 곤충 작은 포유류 새 지렁이 달팽이 민달팽이 도마뱀 장지뱀 야생
조류
의 알 들쥐 잡초의 뿌리 과일 등을 좋아한다. 먹이가 없을 때에는 민가에 있는 양계장에 침입, 달걀을 훔쳐 먹는 경우도 있다. 동물원이나 집에서 사육해 보면 미꾸라지 토마토 오이 건빵 참외 식빵 등도 잘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볼 수 있었던 고유한 식물종의 90%가 영영 사라지고 말았다 또 지구상에는 약 8천6백종의
조류
가 살고 있는 데 그중 약 12%가 절멸의 위기에 있다고 한다.생물들이 사는 곳의 범위도 점점 제한되고 있다. 한반도의 유관속식물(양치식물 나자식물 피자식물)은 4천여종이 알려져 있는데 그 중 약 25%인 ... ...
비전문가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곤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상당히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사항이다.졸른호펜(Solnhofen)의 시조새 화석은 파충류와
조류
의 양쪽 특징을 소유하는 중간형태의 매우 드문 생물이다. 창조론자들이 지난 달 논쟁에서 주장했듯이 '날개에 발톱이 있는 새가 아직 존재하고 거북이에게도 이빨이 없다'는 단순한 논리로 시조새 화석의 ... ...
우리의 조상인 실러캔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네발동물의 직계조상인듯한 혈족관계를 발표하였다.네발동물이란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그리고 우리 인간을 포함한다.실러캔스란 공룡시대 이전에 생존하던 물고기로서 오래전에 멸종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데 지난 1938년 남아프리카의 해안에서 트롤망으로 조업을 하던 한 어부의 그물에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더울 때 아쉬운대로 물에 손발을 담가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얼른 이해가 갈 것이다.
조류
는 낮동안 숲에 묻혀 있거나 물가에 나와 목욕을 함으로써 피서를 한다. 새들은 물위에서 날개를 퍼득거려 자신의 터럭 속으로 물이 스며들게 한다. 이렇게 물이 피부 깊숙한데까지 닿게 한 다음 툭툭 털고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모른다는 것이 단속평형설의 요체다. 어느 날 뱀의 알에서 새가 나온다면 파충류에서
조류
로 중간형태 없이 곧바로 진화될 수 있는데, 현존하는 생물들이 바로 그렇게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종과 종을 이어주는 전이형태가 필요없게 된다. 아무튼 이 이론은 오랜 세월 동안 점진적으로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있을 것이다.그렇다고 중간단계의 화석이 전혀 발견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조류
의 기원을 밝혀주는 시조새, 양서류의 기원을 나타내는 이크티오스테가(Ichthyostega) 등이 그것이다.7 캄브리아기에 이르면서 갑자기 다양하고 복잡한 생물들이 출현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속하기 때문에 지극히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내고 있다. 대머리독수리 가마우지 등 대형
조류
를 비롯해 최소한 1백75종의
조류
, 흑곰 미국너구리 흰코끼리 사슴 스라소니 여우 수달 등 젖빨이동물도 다양하다. 흑곰은 이 지역에 몇가족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곰과 마주치다필자는 1984년 여름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적이 있다는 얘기가 보도됐다. 인위적으로 생태계를 조절할 수 있다는 '무지의 발로'라고
조류
학자들은 입을 모은다. 울릉도 까치 방사도 마찬가지다. 하나는 죽이는 것이고 하나는 살리는 것이지만 둘다 생태계를 이해하지 못한데서 비롯된 행동이다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