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만나볼 예정입니다. 이번 주인공은 ‘매스펀-함께 풀고 싶은 문제’ 코너에서 활발하게
활동
하는 ‘은총알’ 친구입니다! Q 자기 소개 부탁해요!안녕하세요! 저는 경기도 의정부시에 사는 송양중학교 2학년 신가온입니다. 닉네임을 은총알로 한 이유는 ‘늑대인간을 죽일 수 있는 유일한 ... ...
[이달의 수학자] 전쟁의 아픔을 수학으로 달랜 수학자, 김기항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제목으로 연구를 발표하는 등 실력을 인정받았다.김 박사는 40년 이상 수학자로
활동
하며 동양인으로는 최초로 미국 앨라배마주립대학교의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1999년에는 기호동역학 분야에서 약 20년간 풀리지 않았던 ‘윌리엄스 추측’이 특정 조건에서 틀린 것을 밝혀 수학계에서 가장 권위 ... ...
[한페이지 뉴스] 장내미생물이 바이러스 감염도 막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치쿤구니야 바이러스를 주입했다. 이때 한 그룹에는 장내미생물의
활동
을 억제하는 항생제인 암피실린과 반코마이신을 투약했다.3일 뒤 현미경으로 쥐의 비장을 관찰한 결과, 항생제를 투약한 그룹에서는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의 RNA가 다량 검출된 반면 대조군에서는 거의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비롯된 것이라는 연구 결과들이 연달아 나왔다. 잠을 자는 근본적 이유는 정삭적인 뇌
활동
이라는 것이다.하지만 최근 잠을 자는 이유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만드는 연구 결과가 하나 발표됐다. 드라가나 로굴자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생물학과 교수는 잠을 자지 못하면 뇌와 상관없이 장에 ... ...
[나의 미국유학일기] 여름방학이라 쓰고 '인턴십'이라 읽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대학생들은 본인의 커리어를 위한
활동
에 매우 적극적이다. 특히 여름방학에 이런 모습이 잘 드러난다. 캘리포니아공대의 여름방학은 6월 중순부터 9월 말까지 두 달 반 정도인데, 이때 대다수가 10~12주 동안 인턴십을 하거나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캘리포니아공대는 대학원 중심의 학교여서 대학원 ... ...
[한페이지 뉴스] 이산화탄소 줄이려 쓴 천연가스, 대기 중 메탄 농도 높였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집중적으로 비교한 결과, 메탄 배출량이 과거에 비해 약 9% 증가했고 그 중 절반은 인간
활동
의 결과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배출량이 가장 많은 농업 및 폐기물 분야만 보면 2017년 배출량이 2억 2700만t(톤)으로 2000~2006년 평균치보다 11% 증가했다. 메탄은 거름 속 유기물질이 분해될 때 많이 ... ...
[인포그래픽] 화성,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로버를 화성 표면에 보냈다. 현재는 ‘큐리오시티(로버)’와 ‘인사이트(착륙선)’가
활동
하고 있다. ●역대 화성 탐사 시도지금까지 45번의 화성 탐사 시도 중 19번만이 완전 성공했다. 대부분의 실패는 화성 탐사가 시작된 1960년대에 나왔다. 이번에 발사한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말’은 아직 ... ...
CHINA┃‘우주의 질문’에 답하러 간다.. 창정 5호에 실은 첫 성공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데 성공했다. 창어 3호에 탑재된 탐사 로버 위투(玉兎·옥토끼)는 약 42일간 달 표면에서
활동
하며 달의 토양 자료를 보내왔다.2019년 1월에는 창어 4호가 세계 최초로 달 뒷면의 폰 카르만 크레이터에 착륙했다. 달은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27.3일로 같아 지구에서는 달의 한쪽 면밖에 볼 수 없다. 달의 ... ...
2020년대 작은 위성들이 지구를 뒤덮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위성을 550km 높이의 지구 저궤도에 올렸거든요. 이처럼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한 팀으로
활동
하는 여러 대의 인공위성 무리를 ‘군집 위성’이라고 불러요. 지금까지 스페이스X가 쏘아 올린 스타링크는 총 362대예요. 스페이스X는 2027년까지 스타링크 위성 1만 2000대를 뿌릴 계획이랍니다.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문제를 많이 풀면 수학 실력이 좋아질까요?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것은 곧 우리의 뇌가 활발히
활동
했다는 증거입니다. 뇌가
활동
을 많이 할수록 장기간 기억할 가능성 또한 높겠지요.앞으론 수학 문제를 생각없이 반복하는 단순 노동처럼 풀지 말고 뇌에 길을 만드는 도구로 현명하게 이용해보길 권합니다. 오늘부터 그 작업을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