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바로 지금 과학자의 길로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참신한 시각으로 풀어내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한국에선 농업을 전통적인 1차 산업으로 보는 시선이 여전히 강하다. 이에 식물공장 및 농업 기술의 고도화를 영화, 공연, 방 탈출, 증강현실 등과 결합해 쉽고 재밌게 보여주는 과학 콘텐츠를 제안하고 있다. 더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과학 ... ...
- 생명의 블록, 외계에서 왔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만들어졌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 그래서 소행성 연구자들은 올해 9월 소행성 ‘101955 베누’의 시료를 가지고 지구로 돌아올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을 기다리고 있다. 오시리스-렉스는 하야부사 2호보다 훨씬 많은 양의 시료를 채취해서 더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기 ... ...
- [냠냠 어수잼] 전설의 각을 찾아라! 3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직각이 4개씩 있고, 3번, 4번, 5번에는 1개씩 있어. 6번 도형에는 직각이 2개, 7번 도형엔 1개…. 4+4+1+1+1+2+1=14니까 문을 여는 번호는 14!”각우스가 14를 누르자, 동굴 문이 스르르 열렸어요. 문 앞에 서 있던 각의 ...
- [Data Math] 오스카 수상을 수학 모형으로 예측한 야구 분석가수학동아 l2023년 05호
-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M202305N007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Data Math] 오스카 수상을 수학 모형으로 예측한 야구 분석가Part1. [Data Math] 오스카 수상 예측 비결Part2. [Data Math] 2023 오스카 예측 결과Part3. [Data Ma ...
- [Data Math] 오스카 수상 예측 비결수학동아 l2023년 05호
- 꽤 성공적인 결과가 나왔다. 20개 중 15개 부문에서 예측이 들어맞은 것이다. 2017년과 2021년에는 단 하나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적중했다. 올해는 작품상을 포함해 14개 부문에서 예측을 성공했다. 지금까지 열두 해 동안 예측한 오스카 수상 적중률은 77%나 된다. 아쉽게도 현재 소속된 야구팀과의 ...
- [Biostatistician] 빌 게이츠도 주목한 생물통계학자, 질병과 빈곤의 사슬에 맞선 논할라 옌데-주마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우리에게도 안전할까?’ 같은 우려가 많았죠.” 그와 동료들은 발빠르게 대처했다. 2021년 2월 남아공 의료종사자 약 47만 명을 대상으로 특정 백신이 남아공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는지 시험했다. 결국 백신을 한 번만 투여해도 사망률이 꽤 낮아진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후 대중에게 백신을 맞을 ... ...
- [수학 체험 유랑단] 원데이 컬러링 아트 수업, 원으로 그리는 정다각형 작도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둘레보다는 길다는 점을 이용했지요. 그 정다각형의 변의 개수를 정6각형, 정12각형, 정24각형과 같이 2배씩 늘리다가 정96각형에 이르면 원주율에 아주 가까운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해 정96각형이 원이랑 굉장히 형태가 비슷하다는 건데, 진짜인지 직접 작도하며 확인해 보세요 ... ...
- [뉴스&인터뷰] 기후 비밀을 쫓는 탐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느껴질 때가 있다”며 웃었다. 충북 단양에서 발견한 석순은 최초의 단서였다. 석순은 약 1만6000년 전에, 불과 5년 사이 기온이 5~7℃ 가량 급격하게 하강했다는 사실을 알려줬다. 연구단은 이 시기 지구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조사했다. 한국뿐 아니라 중국과 스페인에서도 같은 시기 급격한 기온 ... ...
- [이그노벨상] 벌에 어느 부위를 쏘이면 가장 아플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연구에 꼭 필요한 일이었다. “아야!”, “살짝 따끔해”는 쓸 데가 없다. “2단계”나 “1단계”처럼 고통을 분류하는 기준이 있어야 과학자들끼리 자료를 비교해가며 연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슈미트 독침 통증지수는 독침 연구자들이 범용적으로 쓸 수 있는 새 언어와도 같았다. ... ...
- [DGIST@융복합파트너] 민들레와 얼룩말을 본딴 미래전자소자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 특히 BCP로 만든 나노 구조는 5nm 수준이다. 이는 5억 분의 1m 크기로 얇은 회로를 새길 만큼 정밀한 구조다. BCP는 재료 원가도 저렴해 기존 반도체 공정 설비와 비교해 가격경쟁력이 뛰어나다. 그렇지만 BCP는 쉽게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BCP로 나노 구조를 만들면 패턴이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