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량
다수
풍부
뉴스
"
대량
"(으)로 총 1,545건 검색되었습니다.
IT·NT·BT 성과기업과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단장 김선창 KAIST 교수)의 ‘고기능 생리활성 물질 진세노사이드
대량
생산 기술’과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단장 이학주 기계연 박사)의 ‘메타물질 기반 마이크로 LED 전사기술 및 메타구조체 해석·설계 플랫폼’도 선을 보인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성과발표회에서 ... ...
국내 연구진 ‘원자 두께’ 2차원 물질 생산 새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뿐이다. 이 방법은 지금도 여러 2차원 물질을 얻을 때 널리 사용되지만, 속도가 너무 느려
대량
생산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2차원 물질의 층 분리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제조법을 찾았다. 이들은 금속인 니켈이 갖는 접착력에 주목했다. 물티슈를 분리하던 손 대신 ... ...
100㎞바깥 우주에서 벌어지는 총성없는 전쟁
2018.10.13
군사 행위까지는 보장된다는 입장을 견지하며 전력을 증강시키고 있다. 핵무기나
대량
살상무기를 사용하는 파괴적인 공격 행위를 제외한 기타 작전 행위는 수행해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 6월,도널드트럼프 미국대통령(오른쪽)은 공군에서우주군을 분리독립시키겠다고 발표했다 ... ...
세계 음료시장 석권 노리는 KAIST MBA 출신 4인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한 대학원생은 직접 맥주를 빚어보려고 기숙사 방 안에 제조 설비를 설치했다. 그러다
대량
의 전기를 쓰는 바람에 누전차단기가 내려갔고, 기숙사 전체 학생이 불편을 겪었다. 이 일로 기숙사에서 쫓겨날 뻔한 청년은 자신만의 길을 포기하지 않았다. 이렇게 발효기술에 경험을 쌓은 청년은 2017년 ... ...
수직이착륙과 고속비행 가능한 ‘복합형 드론’이 대세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있는 기술이다.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최근 중국 등에서 저가형 드론이
대량
으로 유통되고 있는 만큼, 우리는 차별화된 기술 개발로 시장 선점에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인간에 이로운 맞춤형 단백질 만들다
2018.10.04
기술이 등장하면서 인간 유전자를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에서 발현시켜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이 제시됐고 1990년대 들어 세포의 대사네트워크 전체를 재설계해 유용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대사공학으로 발전했다. 대사공학에선 효소를 잘 만들어 세포 내에서 적정량으로 발현하도록 ... ...
인간에 이로운 단백질공장을 만들다…효소·항체설계자 3인에 노벨화학상(재종합)
2018.10.03
갖는 효소를 만들어낼 수 있다. 스미스 명예교수와 윈터 교수는 이렇게 만든 효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개발했다. 박테리아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인 ‘파지’에서 단단한 단백질 껍데기 부분만 분리한 뒤, DNA 조각을 넣는다. 이렇게 만든 파지는 마치 ‘캡슐’처럼 DNA를 안전하게 ... ...
태양빛만으로 ‘수소’
대량
생산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전기가 나와 무공해 청정에너지로 꼽힌다. 그러나 물에서 수소를 만들기 위해선 오히려
대량
의 전기가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수소를 굳이 써야하느냐는 의문이 제기돼 왔다. 대안으로 태양빛과 촉매반응을 이용해 물을 수소와 산소로 그대로 분리하는 방법도 있지만 ... ...
GIST연구진, 고온살균 가능한 인체 이식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금속 등의 기존 소자보다 생체 내 신호감지 능력이 우수하다. 유연성이 좋고
대량
생산시 공정비용이 낮아지는 특성도 있어 차세대 인체 이식용 전자의료기기의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사용 전 반드시 소독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고온·고압의 멸균처리 과정에서 변성이 ... ...
日정부, iPS세포로 만든 인공 혈소판 임상시험 첫 허가
동아사이언스
l
2018.09.26
목전에 둔 상태다. 일본의 다이닛폰스미토모제약은 올해 3월 오사카에 iPS세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세계 최초로 완공했다. 다이이치산쿄 역시 iPS세포로 심장근육을 재생할 수 있는 심근시트 상용화 연구에 착수했다. iPS세포를 활용한 첫 임상시험은 2013년 이뤄졌다. 야마나카 교수팀은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