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313건 검색되었습니다.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이때 피실험자들에게 2mA의 전기 자극이 가해졌습니다. 이는 현재 비침습적으로
사람
머리에 전기 자극을 줄 때 허가되는 최대 전류량입니다.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뇌에 전기 자극을 줄 때의 최대 허용량은 2mA(밀리암페어)다. 한국전기연구원과 서울대 의대 공동연구팀은 경두개 불규칙 신호 자극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
2024.10.12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61(17), 1609-1613.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
"빈대 나와!" 국내 빈대 탐지견 1호 '세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2
생긴 개는
사람
이 무서워하거나 피하다가 다칠 수도 있다"고 설명했어요. 그러면서 "
사람
에게 친근하고 냄새도 잘 맡는 비글 세코가 첫 빈대 탐지견이 됐다"고 전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9월 15일, [핫이슈] 빈대 나와! 빈대 탐지견 ... ...
[표지로 읽는 과학] 영구동토층 녹으면, 강둑 침식률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2
길이의 10~20%에 해당하는 규모에서 강 유역의 침식을 살펴볼 수 있는 계산법을 적용하자
사람
의 눈에 보이지 않는 규모의 변화가 관찰됐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영구동토층이 있는 곳은 없는 곳보다 강둑 침식률이 47%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영구동토층이 해빙되면 강 이동률이 30~100% ... ...
당신의 운동 능력, 땀은 알고 있다…웨어러블 밴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시간대별 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렇게 만든 웨어러블 밴드로 운동하는
사람
의 땀을 측정한 결과 사용자의 운동 능력에 따라 땀의 성분이 변화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운동 능력이 좋은 피실험자는 격렬한 운동을 할 경우에도 땀이 중성으로 유지됐다. 반면 운동 능력이 좋지 않은 ... ...
"탐사로버 개발하고 우주자원 채굴할래요"…美 NASA 가는 '어린이 우주인'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0
더 좋은 약을 만들 수 있다고 배웠는데 제가 구상한 약도 실제로 만들어져서 아픈
사람
들을 도와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유="평소 책이나 인터넷 기사에서만 보던 누리호의 75t급 실물 엔진 1기와 대한민국이 발사한 최초의 다목적 실용 인공위성 아리랑 1호를 직접 볼 수 있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생명체를 이룬다. 이 모든 세포의 설계도는 세포 핵에 있는 DNA에 저장되어 있으며 한
사람
의 체내의 세포들은 정확하게 동일한 DNA 설계도로 만들어진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그 답은 세포 내 유전자 발현 조절에 있다. DNA 설계도 상에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를 유전자라고 ... ...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단백질 설계에 도전하다 베이커 교수는 2003년 많은
사람
들이 불가능하다고 믿었던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완전히 새로운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컴퓨터로 설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베이커 교수 연구팀이 개발해 활용하던 분자 역학 모델을 이용해 분자의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있는 기법이다. 디퓨전 모델의 부작용은 이미지 왜곡이다. 디퓨전 모델이 그림을 그릴 때
사람
의 손가락을 여섯 개 만든다거나 얼굴 주름이 이상하게 연결되는 등 미세한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할 때도 동일한 양상으로 생겨난다. 스타이네거 교수는 "디퓨전 모델을 ... ...
[노벨상 2024] 새 단백질 찾고 AI로 구조 예측한 과학자 3명 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거의 2억 개의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알파폴드2는 190개국 200만명 이상의
사람
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벨위원회는 "생명체는 단백질 없이 존재할 수 없다"며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고 직접 단백질을 설계할 수 있게 된 것은 인류의 가장 큰 혜택"이라고 선정 이유를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