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스페셜
"
알
"(으)로 총 1,41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여전히 보존하고 있다는 말이다. 아직까지 후각수용체 400개 가운데 인식하는 분자를
알
고 있는 건 10% 수준에 불과하다. 그나마 대다수는 후각상피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달라붙는 냄새분자들이다. 반면 개체 내 또는 개체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관점에서 후각수용체와 인식하는 분자가 규명된 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한다. 또 매년 한 차례 이상 수질검사를 받고 친환경 약품을 써야 한다. 닭의 경우
알
을 많이 낳게 하려고 밤새 불을 켜놓아도 안 된다. 잔류 농약 및 항생제 검사도 받아야 한다. 10㎡면 방 하나 넓이인데 덩치가 커다란 소가 이 정도 면적을 확보하는 게 ‘행복’의 조건이라는 사실이 기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
알
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집밥 백선생’이라는 프로그램에서는 요리 초보인 연예인들에게 요리하는 즐거움을
알
게 해준다. 어떤 사람들은 오늘날 미식 열풍을 일종의 ‘퇴행’으로 진단하기도 하지만 이는 우리가 한동안 잊어버리고 있었던 ‘잡식동물이라는 생물학적 사실’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뭔가를
알
지 못하면 동물이 정말 얼마나 특별한지
알
수 없다”며 “이들에 대해 더 많이
알
수록 우리(동물)는 덜 특별한 존재인 것 같다”고 쓰고 있다. 깃편모충류의 한 종인 살핀고에카(Salpingoeca rosetta)가 먹이인 박테리아가 있는 환경에서 세포분열을 하며 군체를 이루는 과정을 찍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WHIM에 분포하는 가시 물질의 양이 전체의 15% 내외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값을 기존에
알
려진 물질의 양(별, 차가운 기체 등)과 합친 게 추정치의 60% 수준이다. 연구자들은 나머지 40%가 뜨거운 WHIM에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유럽우주국(EPA)의 XMM-뉴턴 X선 우주망원경으로 도마뱀자리 BL천체 1ES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이는 자폐 성향과 거리가 먼 특징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기자가 “상대성이론을
알
기 쉽게 설명해 달라”고 하자 “난로 위에 있으면 1분이 한 시간처럼 느껴지고 미인 옆에 있으면 한 시간이 1분처럼 느껴진다”고 재치있게 답했다. 반면 뉴턴 이상으로 전형적인 아스페르거 증후군을 보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 지나치게 통제하는 부모의 공통점
2018.05.05
자연스럽게 발견하며 삶과 자신을
알
기회를 앗아가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인지 잘
알
지도 못하는 사람을 좋아하기는 어렵다. 자기 자신도 마찬가지이다. 자녀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 통제하는 경우 자녀가 건강한 자존감을 형성하기 힘들다 - 사진 GIB 제공 그런데 왜 어떤 부모는 유독 자녀를 ... ...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그 동안 다른 지역의 전유물로 여겨진) 정교한 도구 제작 문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
게 됐다”고 말했다. 13만~11만 년 전 중국 내륙에 살던 인류가 만든 뼈도끼. 돌 등을 다듬은 흔적이 남아 있다. -사진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아니면 약효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이중맹검으로 하는지는 모르겠다.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세 나라 가운데 여전히 두 자릿수 치사율을 보이는 우리나라에서 보건당국이 국민들에게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게 최선”이라는 원론적인 말만 하고 앞으로 6개월 동안 나올 수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했는데 집에서 다니기도 멀고 해서 계속하지 못했다. 집 근처에 혹시 배울 데가 있는지
알
아봤지만 종교(명상)나 미용(요가)의 색채가 짙어 내키지 않았다. 명상에만 오롯이 집중할 수 있는 곳이 생길 때까지는 장 교수의 CD에 계속 의지해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