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 무게는 소금 알갱이 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인터넷을 쓰기 시작한 지 30
년
도 안 됐지만 이제는 없어서 안 될 정도예요. 그런데 인터넷에 관한 재미난 연구가 나왔어요. 인터넷을 무게로 따져 보면 얼마나 될까요?과학칼럼니스트 스티븐 카스는 사람들이 잘 쓰는 이메일로 인터넷 무게를 계산했어요. 보통 이메일 크기가 50킬로바이트 (1KB=${2}^{10} ... ...
'톡톡ʼ스마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음성인식 기술은 1950
년
대에 처음 등장했어. 하지만 음성 인식이 제대로 안 돼서 2000
년
대 중반까지 연구실에 머물러 있었지. 그러다 지난해 말에 애플이 ‘아이폰4S’에 설치한 음성인식기능 ‘시리(Siri)’를 공개하면서 음성인식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단다.시리는 딱딱한 명령어 대신 ... ...
INTRO. 게임이 현실인가 현실이 게임인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정의란 사람들에게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을 주는 것”이라고 가르쳤다. 2300여
년
이 지난 현재, 사람들은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을 받고 있는 걸까. 현실에선 먼 발치에 있지만 우습게도 게임에서는 가능하다.게임이 현실이 되고 현실이 게임이 되는 세상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 첨단 게임기는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파킨슨병, 에이즈와 같은 난치병의 진행을 이해하려는 게 목표다. 플레이스테이션3는 2007
년
부터 여기에 참여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있다. 게임기로 과학에 공헌하는 셈이다.시각장애인도 안심하고 걷는다2006
년
닌텐도는 동작인식 게임기인 ‘위’를 발표했다. 곧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도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수식을 검증한 실험 결과를 ‘네이처 피직스’ 1월호에 발표했다.불확정성의 원리는 1927
년
독일의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이론이다. 움직이는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결정할 때 두 물리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자기파를 이용해 위치를 관측하는데, ... ...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국내서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슈펙트캡슐’이 국내서 개발됐다. 세계에서 4번째로 개발한 것이다.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글리벡’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 것을 막는다.슈펙트캡슐은 국내에서는 18번째 신약이다. 일양약품이 2001
년
부터 연구해 10여
년
만에 신약허가를 받았다 ... ...
민간우주선 ‘드래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구형 로켓처럼 한 번 비행 후 버리는 것이 아니라 우주왕복선처럼 재사용이 가능하다. 2010
년
12월 첫 무인우주비행에 성공했다.드래곤은 7명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으며, 국제우주정거장으로 6톤의 화물을 올려 보내고, 3톤의 화물을 지구로 내릴 수 있다. 지구로 돌아올 때는 낙하산을 펴고 바다에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미국에서 제조한 것으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전했다. PIP사는 공업용 실리콘 사용으로 10
년
간 100억 유로 (약 15조 원)의 원가를 절감했다. 공업용 실리콘의 가격은 의료용 실리콘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PIP사는 2010
년
3월 안전성과 기능 이상 문제로 리콜 파문을 겪은 후 파산한 상태다.keyword 4 블랙카본 ... ...
인공지구야 돌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어. 자기장 역전은 10만
년
에서 100만
년
간격을 두고 보통 일어나는데, 가장 최근은 78만
년
전이야.자기장이 역전 될 경우 체내에 있는 나침반으로 길을 찾는 고래나 철새 같은 동물들이 길을 잃어 위험에 처할 수 있고, 치명적인 우주 방사선이 비켜가지 않고 지구로 그대로 쏟아져 들어올 수 있어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닭이었지요. 아무튼 이 논문 덕분에 극심한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매
년
15억 원의 연구비를 쓸 수 있는 국가과학자조차 여전히 단기적인 연구성과에 매달리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우리나라 연구풍토가 아쉬운 대목이다. 아무튼 2010
년
단계 평가에서 유 교수는 최고 점수인 ‘S’를 ... ...
이전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1100
1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