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사 스스로 수업형태 개선해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또 하나의 의도는 탐구학습, 현장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솔직한 견해와 바람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덧붙이자면 전곡리를 중심으로 한 한탄강 유역에는 풍화 토양 분출 관입 퇴적 변성 하안단구 용암대지 등 지구과학 교과에서 다루는 다양한 내용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수도권의 학생들에게 ... ...
생물은 더 작아질 수도 더 커질 수도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접으면 4, n번 접으면 ${2}^{n}$장의 두께를 갖게 된다. 50번 접으면 ${2}^{50}$장에 해당하는
데
이는 1.1259×${10}^{15}$이라는 커다란 숫자가 된다. 종이 한장의 두께가 0.1㎜라면 실제 두께는 1.1259×${10}^{15}$×0.1(㎜)=1.1259×${10}^{14}$(㎜)=1.1259×${10}^{8}$(㎞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분야를 공부한 사람이 적은 형편"이라고 덧붙였다. 국내에서는 올해 학부과정을 개설한
데
이어 93년에는 석사과정 94년에는 박사과정을 순차적으로 개설해나갈 것으로 보인다.체신부가 전국최초의 첨단기술특약학과로 홍보한 것처럼 모자라는 기술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이 대학의 인력육성을 ... ...
오래씹어도 단맛 잃지 않는 껌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추잉껌의 혁명」은 지속형 약제 개발에 앞서 수행한 워밍업을 통해 달성되고 오래 씹어도 단맛을 잃지 않는 껌이 최근 미국에서 개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 한 연구원은 "문제는 껌맛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간보다 훨씬 빨리 껌씹기를 지겨워한다는
데
있다"며 다소 멋적어 했다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성운의 일부인 원추 성운은 사진 속에서 가스로 이루어진 검은 피라미드처럼 보이는
데
그 뒤쪽은 젊은 별들에서 나오는 빛에 의해 밝게 빛나고 있다. 원추의 끝은 별빛으로 이글거린다. 이 모습은 마치 하늘의 촛불이나 별을 이야기하는 신의 검은 혀와도 같다. 아마 밤하늘의 어떤 사진도 관측자의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길러야 할까? 우선 발명에 흥미를 느껴야 하고 좋아해야 한다. 좋아하고 흥미를 느끼는
데
누가 말린다고 외면할수 있겠는가? 그렇다고 막연히 좋아하고 흥미를 느끼기만 해서는 안될 일이다.발명의 근본이 되는 지식을 쌓아야 된다. 발명이 과학과목과 연관이 깊다고 해서 과학공부만 해서는 안된다.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유럽쪽이 앞서 있다. 해결해야 될 과제로는 초전도자석의 개발,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플라즈마가열장치의 개발, 강한 중성자 조사(照射)에도 견딜 수 있는 핵융합로구조재의 개발,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리튬)의 취급기술 등을 들 수 있다.핵융합로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것은 ... ...
컴퓨터 선거전략의 핵심참모로 큰 활약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보는 각 당의 득표현황, 당선자들의 개인프로필 등 통계프로그램을 미리 개발해두었다가
데
이터가 입력되는 즉시 화면에 표현한다.KBS 기술연구소 이종근 차장은 "컴퓨터그래픽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어 지난 총선때만 하더라도 3차원 그래픽은 10% 정도밖에 활용되지 못했지만 올해에는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과학적 지식의 결여때문에 잘못된 결론에 이른 경우보다 사실과 주장을 구분하지 못하는
데
서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더 많다.요컨대 사고해석의 모태는 수집된 자료다. 따라서 사고해석의 신뢰도를 높이려면 무엇보다 현장조사를 철저히 해야 한다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집적도는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로봇이라는 말은 체코 말로 '노동'이라는 의미인
데
기계의 이름으로 처음 사용된 것은 1920년대였다. 그러나 스스로 동작하는 로봇과 같은 것은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있었다. 시계장치의 자동인형은 1700년대에 이미 완성돼 부유한 지주들의 노리개로 이용됐다. ... ...
이전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1100
1101
1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