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야생동물 생태연구집념-산야 헤매기 40년
과학동아
l
199410
40년의 세월이 흘렸다. 그동안 1964년에는 경희대 조류연구소가 미국방부의 예산으로 동남
아시아
10개국에서 그 나라들과 공동으로 철새의 이동에 관한 연구를 실시할 때 참여한 바 있다. 1965년부터 1967년까지는 일본의 야마시나 조류연구소에서 일본조류의 생태와 이동에 관한 연구를 실시했다 ... ...
무더위·가뭄 기상 대이변
과학동아
l
199408
나타나며 장마기간 중의 강수량이나 강우형태도 매우 다양하다. 장마라는 기상현상은
아시아
대륙과 동태평양 크기와 수십년 기간의 규모에서는 비교적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보다 작은 한반도 부근지역과 수개월 기간의 규모로 본다면 항상 불규칙한 것이 정상인 기상현상으로 ... ...
애틀랜타 '94 봄 컴덱스 쇼
과학동아
l
199407
컴덱스쇼의 주관업체인 인터페이스그룹은 연평균 15%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아시아
권의 정보산업에 전세계 업체의 참여 기회를 넓히기 위해 싱가포르 인터내셔널 컨벤션 센터에서 매년 '컴덱스
아시아
'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 ...
숙주와 기생생물 '군비확대경쟁'
과학동아
l
199407
것으로 진단하기 때문이라는 이론이다. 해밀턴의 아이디어는 북아메리카의 조류와 남
아시아
의 야생닭을 통해 확인된 바 있다.인공생태계 띠에라한편 미국 델라웨어대학의 토마스 레이는 1990년 기생생물과 숙주의 군비확대경쟁을 완벽하게 보여준 컴퓨터 프로그램을 발표하여 화제를 일으켰다. ... ...
(1) 지구온난화, 사람 못살게 된다
과학동아
l
199407
볼 수 있다. 따라서 북반구에서 기후의 계절 변화는 지금보다 훨씬 더 컸고, 이에 따라
아시아
몬순의 강도도 더욱 크게 나타났을 것으로 생각된다.기후 변화의 요인 중 지구 자전축에 관련된 두번째 요인은 계절 변화의 주요인인 지구 공전축에 대한 지축의 기울기가 4만1천년 주기로 21.5°에서 24. ... ...
3. 살 길 찾아
아시아
·유럽으로
과학동아
l
199405
환경에도 적응할 수 있는 충분한 지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고 추정된다. 또 동남
아시아
지역에서 일찍부터 그 영역을 북쪽으로 확장해 동북 중국지역까지 진출했다고 믿어지며 이 지역에서 상당한 기간 동안 진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주구점유적의 북경원인을 통해서 알 수 있다 ... ...
2000년 1백인승 중형항공기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405
독자개발한 초음속 제트전투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커뮤터기 시장에서도 맹활약중이다.
아시아
의 대만과 인도네시아는 국방상 이유와 지리적 여건때문에 그렇다 하더라도 소국중의 소국인 스위스 필라투스(Pilatus)사의 훈련기가 세계적으로 호평받는 기종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세계의 ... ...
1. 태고의 유인원, 2천3백만년 전 첫 출현
과학동아
l
199405
인도의 북부 시알리크지역에서 발견된 시바피테쿠스는 두개골의 형상으로 보아 동남
아시아
에 살고 있는 오랑우탄의 조상일 가능성이 유력하다. 기간토피테쿠스도 인류의 조상이라는 주장이 있었지만 중국에서 발견된 예는 이미 호모가 나타나기 약 1백만년 전까지 살고 있었으며 인류 진화의 ... ...
4. 한국인의 뿌리, 아프리카 현생 인류
과학동아
l
199405
또 청동기시대 이래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르도스지방이나 몽골지방 그리고 중앙
아시아
지방과 문화적인 연결이 나타나고 있다.이제 인류의 유전자 교류는 소규모 지역 집단간의 차원을 넘어서 전세계로 확대돼 가고 있다. 이것은 인류의 미래를 밝게 하는 것이다. 활발한 유전자의 교류는 ... ...
아시아
어린이 언어체계 때문에 수학 잘 한다
과학동아
l
199405
세도록 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서양 어린이들은 대개 42를 하나씩 올려놓았지만
아시아
어린이들은 10개를 하나로 묶어 4개를 쌓은 다음 1개 짜리를 두개 올려놓음으로써 42를 만들었다는 것.두 문화권이 1부터 1백까지를 어떤 방식으로 세는지 살펴보면 그의 주장은 쉽게 이해된다. 예를 들어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