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영롱하게 빛나는 초록 갑옷, 비단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수가 적어 직접 보기는 무척 힘들어요. 과거 남부 해안과 지리산, 제주도 등에서 나타난 기록이 있지만 지금은 변산반도와 밀양에서만 아주 가끔 발견되지요.사실 과학자들은 우리나라에 사는 비단벌레가 일본과 중국에 사는 비단벌레와 모양이 비슷해 서로 같은 종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러다 2012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사진은 물론 동영상과 친구와의 대화까지 우리는 평소 수많은 정보를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하고 사용해요. 그런데 디지털이란 무슨 뜻일까요? 디지털의 어원인 ‘디지트’는 ‘손가락’, ‘발가락’, 또는 ‘손가락으로 수를 세는 것’을 뜻하는 라틴어예요. 여기에서 ‘어떤 정보를 셀 수 있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창경궁에서 만난 원앙과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연구원은 “환경 변화에 따라 화분매개자도 함께 변하고 있다”며, “지사탐 대원들이 기록해 준 데이터는 화분매개자에게 영향을 주는 변화 요인을 파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과학판과 공동으로 올해 과학계 10대 뉴스를 선정했다. 네이버에서 조회수 2만 회 이상을 기록한 뉴스 가운데 과학동아 편집부 투표를 통해 추렸다. 번호는 뉴스 발생 시간 순이다. 01 세계 최강 로켓 발사 성공 미국의 민간 우주업체 스페이스X가 2월 ‘팰컨헤비(Falcon Heavy)’를 성공적으로 쏘아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온도가 가장 낮은 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을 발견했다. 이곳의 온도는 영하 238도를 기록했다. 지형의 특성상 햇빛을 영원히 받을 수 없어 수십억 년 동안 어둠 속에 있었기 때문이다. 우주에서 가장 추운 곳은 지구에서 5000광년 떨어져 있는 부메랑 성운이다. 1995년 이 성운을 관측하던 과학자들은 ... ...
- 서보현 대구과학고 입학관리부장 - “우수하면 다음 단계 생략하고 우선 선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위한 다양한 활동을 최대한 많이 적는 게 좋다”며 “짧게 기술한 활동도 학교생활기록부나 추천서를 참고해 최대한 면밀히 살핀다”고 설명했다. 교사추천서의 경우 교사의 부담을 덜기 위해 한 부만 제출하게 하고 있다. 서 부장은 “학생의 우수성에 대해 잘 설명할 수 있다면 담임교사나 ...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기능을 진즉에 알아봤다. 중국에서는 11세기 송나라 때 거위 털로 의복을 해 입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유럽에서도 14세기 경 이불 속에 거위 털을 넣어 사용했다고 기술돼 있다. 이렇게 거위나 오리의 깃털(원모)을 침구류나 의류에 넣을 충전재로 가공한 형태를 ‘우모(羽毛)’라고 한다. 현재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지난해 미국에서 생물의학 연구에 사용된 원숭이 수는 사상 최고치인 7만6000마리를 기록했다. 한국도 최근 10년 동안 영장류 수입 두수가 7배가량 증가해 지난해에만 2403마리의 영장류를 연구에 사용했다. 이는 영장류를 이용한 실험이 쥐나 돼지를 이용한 실험보다 정확하기 때문이다. 리처드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웨어러블 로봇’이다. ● ‘장애 1급, 보행보조물 착용’ #Scene 1 이수연의 인사 기록에 쓰인 비밀이다. 그는 12년 전 교통사고를 당해 오른쪽 팔과 다리를 쓸 수 없게 됐다. 휠체어에 몸을 의지하던 그는 팔과 다리에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해 걷고 움직인다 수연아, 웨어러블 입고 ... ...
-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60개의 우애수를 발견했다. 우애수에 대한 정의가 언제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록이 전해지지 않지만, 피타고라스를 비롯한 기원전 6세기 학자들도 우애수 개념을 알고 있었던 것을 보면 그보다 앞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9세기 아랍 수학자 사비트 이븐 쿠라는 우애수를 구하는 아래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