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활"(으)로 총 7,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로버트 스콧이 이끄는 남극 원정대의 일원이었던 외과의사 조지 레빅이 아델리펭귄의 생활사를 기록했는데, 여기에 수컷끼리 짝짓기를 하는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당시에는 내용이 충격적이라는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고, 100년이 지난 2012년에야 비로소 대중에 공개됐다. 2019년 7월 영국 시라이프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소음은 노이즈 캔슬링 효과가 떨어진다. 다행히 현재 노이즈 캔슬링 기술로도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대중교통을 자주 타는 사람에게 노이즈 캔슬링 효과가 가장 크다. 환풍기 소음, 버스 엔진, 지하철 소음 등이 1kHz 이하의 저음이기 때문이다. 김도헌 대림대 ...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집수리 봉사 활동도 꾸준히 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또 2012~2013년에는 강원도민생활체전에 수영과 수구 종목 선수로 출전했는가 하면, 사물놀이 동아리원으로 학교 행사마다 공연을 했다. 그리고 마침내 미국 대학 진학에 성공했다. 한국과 미국의 시차 때문에 오전 4시경 합격 결과를 확인했다. ... ...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수학 문제의 답을 찾는 연습만 하면 이런 경험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학과 미술 등 생활과 밀접한 학문과 접목한 활동이 필요했다.그래서 떠올린 게 수학 실력과 창의력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메이커’ 활동이다. 처음에는 3D 프린터에 3차원 대수 방정식을 입력해 구조물을 만들거나 레이저 ...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객석이 술렁였지요.“시민과학과 똥의 만남은 새롭지요? 시민들은 섭취한 음식과 생활 방식을 앱(App)에 기록하고 똥을 보내주면 연구자들이 장내미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지요.”남선정 사무국장이 발표를 맡은 저어새네트워크는 저어새가 찾아오는 3월부터 번식을 마치고 떠나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생물이야, 로봇이야? 생체모방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온몸으로 관을 감싼 로봇(아래 사진), 뱀처럼 생기지 않았나요? 이처럼 사람을 비롯한 동물, 식물 등 생물의 기본 구조와 작동 방식을 본떠 만든 로봇을 ‘생체모방 로봇’이라고 해요. 사진 속 뱀 로봇도 생체모방 로봇 중 하나지요. 뱀 로봇은 뱀이 굴곡진 곳을 잘 이동한다는 장점을 활용했어요. ... ...
- [지사탐 열혈가족 인터뷰]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했지요. 하지만 토종 논우렁이는 수조 벽이나 풀을 잡고 기어오르지 못해 수조 안에서만 생활했고 번식하지도 않았어요. Q 이 실험이 의미하는 게 있나요? 왕우렁이는 번식력이 매우 좋아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거예요. 토종 논우렁이는 한 번에 20~30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왕우렁이는 한 번에 ... ...
- [통합과학교과서] 늑대의 반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간접 경험할 수 있는 게임 ‘프랙처드 마인즈(Fractured Minds)’를 출시했어요. 학교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며 불안감을 느끼는 자신의 경험을 게임에 녹여낸 것이었죠. 프랙처드 마인즈는 에밀리 미첼이 자신의 정신 세계를 공간으로 표현한 것으로, 방탈출 게임과 닮았어요. 하나의 방에서 다른 ...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000년 전, 중동 어딘가에서 고양이가 사람과 처음 살기 시작했다고 생각해요. 인간이 정착 생활을 하면서 마을 주변에 음식 찌꺼기 등 식량이 많아졌고, 이를 찾아 내려온 야생 고양이 중 온순했던 종류가 사람과 가까운 곳에서 살며 쥐를 잡기 시작했다는 거예요. 그러다 고양이를 귀여워한 사람들이 ... ...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유전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한국인의 뇌를 연구하면 한국인의 유전자와 생활환경이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을 거예요. 이런 연구를 통해 지금은 치매, 파킨슨병이라고 포괄적으로 이야기하는 뇌질환을 앞으로는 좀 더 세분화해서 연구할 수 있을 거예요. 진짜 뇌를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