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론으로 본 제주] 제주의 역사를 품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했다. 빙하기 이후 기온이 오른 시점을 확인한 것이다. 이런 가치를 인정받아 2012년
세계
자연보전총회에서 ‘하논분화구 복원·보전 및 활용’ 발의안을 채택해 논농사 이전의 마르형 분화구를 복원하기로 했다 ... ...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한다. 물론 후각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소는 많다. 단순 노화일 수도 있고, 현재 전
세계
적으로 유행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려도 냄새를 맡는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그런데 치매의 경우 특정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미국 플로리다대 의대 연구팀은 ... ...
[기획] 다리가 다글다글! 다지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대해 알면 알수록 다지류가 색다르게 보일걸?지금부터 꼬물꼬물 우글우글 다지류의
세계
로 여러분을 초대할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다리가 다글다글! 다지류Part1. [기획] 다지류 다리 많은 친구들을 소개합니다!Part2. [기획] 다리가 무려 1306개? 가장 다리 많은 다지류는?Part3. ... ...
[기획] 다리가 무려 1306개? 가장 다리 많은 다지류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정말 신기해요! 맞아요. 저희는 말 그대로 매달 수십 종의 신종을 발견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의 무척추동물 대부분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태랍니다 ... ...
[특집]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무엇인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측정한 데이터에 접근해 새로운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것, 이런 데이터의 교류로 전
세계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원동력이 됩니다. 지사탐 대원들은 커뮤니티의 긍정적인 영향을 경험하고 있어요. 가족 그리고 지사탐 대원들과 탐사의 즐거움과 지식을 나누면서 유대감을 갖는 것 ... ...
[수학뉴스] 한국 수학, 최단 기간에 최고 등급으로 점프!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연구가 이미 많이 발표되고 있고 중요한 수학 학술대회도 계속 열릴 정도로 한국 수학은
세계
수학의 주류에 속해 있다”면서, “우리나라 수학자들이 자신감을 갖고 계속 하고 싶은 연구를 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 ...
[특집]
세계
수학의 날,
세계
에는 무슨 일이?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가장 먼저 3월 14일을 맞이하는 뉴질랜드를 시작으로 전
세계
에서
세계
수학의 날을 기념해요. 시차를 고려하면 48시간 동안
세계
수학의 날 행사가 펼쳐지는데요. 2021년에 어떤 멋진 이벤트가 열렸는지 살펴봐요! ...
[특집] 와 함께 렛츠 수학 파티!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022년
세계
수학의 날 주제는 ‘수학의 결합’이에요. 캐나다 오타와대학교 대학원생인 율리야 네스테로바가 “수학은 우리 모두가 쓰는 공통 언어이자 서로를 찾기 위해 갖는 공통 주제”라며 수학을 통한 결합을 주제로 수학을 즐기자고 제안해 채택됐어요.는 이 취지에 맞는 이벤트를 ... ...
[ICM 초청 강연자를 만나다➋] “재미있는 수학자로 기억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강연자로 선정된 소감이 궁금해요. ‘불러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생각뿐이에요. 전
세계
의 수학자가 모이는 자리라 기대도 되고요. 하지만 부담스럽지는 않아요. 규모가 큰 학회이지만 강연 분위기는 매우 자유롭거든요. 서로의 분야에 대해서 교류하기도 쉽고요. 아, 걱정되는 부분이 있어요. ... ...
[과학뉴스] 전
세계
빙하, 예측보다 20% 적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분석해 전
세계
에 분포한 산악 빙하 21만 5000개의 유속과 두께를 측정했다. 그 결과 전
세계
빙하가 모두 녹을 경우, 약 257mm 높이의 해수면 상승을 일으킬 것으로 추정됐다. 종전에 예측했던 해수면 상승 정도보다 약 20% 낮은 수준이다. 주민들이 산악 빙하를 담수로 이용하며 생활하는 저위도 지역도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