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d라이브러리
"
수의
"(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복제 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 만능일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8월 9일 국내에서 최초로 인간배아복제 실험이 완수됐음을 알리는 발표가 있었다. 서울대
수의
학과 황우석 교수가 인간배아복제 실험에 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전한 것이다. 황 교수에 따르면 36세 한국인 남성의 귀에서 떼어낸 세포를 미리 핵이 제거된 여성의 난자에 융합시켜 ‘새로운 형태의 ... ...
네트워크로 해석한 인터넷 대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비일비재할 것은 불보듯 뻔하다. 인터넷은 다변화하면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적당한
수의
허브를 포함하고 다양한 길을 갖는 항공노선 네트워크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배
수의
농도를 나타낸다 보통 48시간 TLM의 1/10의 농도면 어류는 안전하다고 간주된다상
수의
소독에 사용되고 있는 염소소독법은 비용이 저렴하고 잔류효과가 있는 반면에 상수원의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강력한 발암물질인 THM이 생성된다 THM은 수중의 유기물인 프민질과 염소가 반응하여 생기는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복제다. 김진회 교수는 “3월초에 오줌에서 빈혈치료제를 생산하는 돼지 등 다
수의
복제돼지가 태어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우유에서 금보다 귀한 의약품을 생산하는 유전자변형 젖소를 복제하는 연구도 활발하다. 다만 경제성이 아직은 높지 않아 현실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례가 없다는 것이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참고로 바라바시 교
수의
설명 이후 미 보스턴대 아마랄 박사가 직접 항공망의 연결선
수의
분포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는 항공망의 연결선 분포가 멱함수 법칙을 정확히 따르지는 않았다. 그러나 연결선이 많은 허브의 출현을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예이기 때문에 여기서도 이를 소개했다.할리우드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말한다 무성(無性)생식에 대응되는 말이다 암
수의
성이 분화되어 감각에 있어서 암
수의
생식세포가 형성되고, 이 생식세포의 수정에 의하여 새로운 개체가 형성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유성생식 중 양성의 생식세포가 관여하는 경우를 특히 양성생식이라고 한다 그러나 양성의 분화는 명확하지만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당연히 성공률이 높아진다.한편 수정란을 체외에서 더 오래 키우면서 불임부부가 원하는
수의
자녀를 갖는 일이 가능해지고 있다. 시험관 아기 시술을 받은 후 여러명의 쌍둥이가 태어나는 경우가 많았다. 임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여러개의 수정란을 집어넣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정란을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화석들이 1억5천만년 전부터 1억2천만년 전에 이르는 지층에서 발견됨으로써 이미 많은
수의
조류들이 쥐라기 후기와 백악기 초기에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몸 전체에 깃털이 있고 비행용으로 보이는, 몸체보다 긴 깃털로 인해 시조새보다 비행능력이 훨씬 뛰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암수간의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누가 더 오늘날의 박찬호를 닮을지는 쉽게 짐작이 간다.물론 복제 박찬호는 박찬호 선
수의
DNA를 가진 만큼 키와 몸무게 등의 체격에서 박찬호 선수와 비슷하겠지만, 결코 박찬호 선수와는 똑같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다.최근에는 복제인간이 일란성 쌍둥이에 비해 외모나 성격면에서 덜 닮은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미국에서 복제고양이가, 프랑스에서는 복제토끼가 만들어졌다.우리나라에서는 서울대
수의
학과 황우석 교수팀이 1999년 복제젖소 영롱이와 복제한우 진이를 연달아 탄생시켰다. 2001년에는 생명공학 벤처 마크로젠이 미국에서 복제쥐를 탄생시켰고, 2002년에는 경상대 축산과학부 김진회 교수팀이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