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사자
필생
d라이브러리
"
쓰는 사람
"(으)로 총 2,32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실수를 할 리가 없는데.”코드를 꽂고 다시 두
사람
이 흥분에 차 기계를 가동시켰지만 마찬가지였다. ... 나간 사이에 들어왔다고 해도 이 기계가 무엇에
쓰는
것인지 아는
사람
은 저밖에 없어요. 이렇게 가장 중요한 전선만 정확히 잘라낼 리가 없어요.”팔짱을 끼고 고민하던 조수가 말했다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바이러스는 오랜 세월을
사람
과 더불어 살며
사람
의 면역체계를 갖추는 데 도움을 줬다.바이러스는 의약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된다. 지금
쓰는
백신의 80% 이상이 바이러스 백신이다. 바이러스는 오히려
사람
에게 도움을 주는 유익한 생명체라고 말할 수 있다.20세기 중반 의사들은 백혈병 환자가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그러면 미리 저장된 명령어가 아니더라도
사람
이 하는 말을 로봇이 알아들을 수 있다.최근에 ... “권투처럼 움직임이 다양하고 고속으로 온몸을
쓰는
동작을 하려면 몸 전체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금도
사람
이 밀쳤을 때 균형을 잡아 넘어지지 않도록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붙은 거지? 먼저 이산화탄소를 잡아 달라는
사람
들의 얘기를 들어 봐야겠어!잠깐! 내 얘기를 먼저 ... 잡는 과정만 더하면 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다.연소 전에 잡아라!화석연료에서 미리 ... 하지만 아직까지는 신재생에너지 기술로
사람
들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전부 만들 수 없지요. ... ...
학교 수학시험이 사교육을 부른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다른 문제를 풀 시간이 그만큼 부족해진다.특히 이 문제는 아래첨자를
쓰는
기호‘xn’으로 학생들의 기를 죽인다. 이 기호는 고등학교 ... 수학적인 사고를 막는 선행학습 극장에서 영화를 볼 때 맨 앞자리의
사람
이 어떤 이유에선지 일어서서 영화를 보기 시작한다. 그런데그 뒷줄에 있는
사람
들이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뜻이다.]이런 사실을 계산을 통해 처음 보인
사람
은 스티븐 호킹이다. 호킹은 먼저 완벽히 진공인 ... 쉽게 풀 수 없기 때문이다.이것이 요즘 많이
쓰는
‘공개키 암호방식’이다. 보내는
사람
은 공개된 문제를 이용해 자신의 메시지를 암호문으로 만들어 보내고, 받는
사람
은 자신만이 알고 있는 ... ...
원전, 방사능, 에너지 총정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원자력 르네상스가 나름의 설득력을 갖고
사람
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것은 그만큼
사람
들의 이해와 맞는 면이 있어서다. 국제에너지기구 ... 이들은 어떤 형태든 에너지를 과도하게
쓰는
생활습관은 지구에 부담이 된다는 입장이다. 원자력에 투자할 비용이면 재생에너지 사회를 앞당길 수 있다고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고.”그러나 밀러는 물러서지 않았고 결국 두
사람
은 6개월에서 1년 정도 시도를 해보고 안 되면 ... 종이크로 마토그래피란 혼합물을 분리하는 데
쓰는
방법으로 종이의 한 지점에 혼합물 용액을 찍은 ... 것이다. 아마도 유리 교수가 명예욕이 없는
사람
이거나 노벨상 수상으로 모든 걸 이뤘기 ... ...
“내신성적 반영, 전교과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식으로만 썼다. 이제는 생물을 좋아하게 된 동기와 읽은 책, 공부 시간을
쓰는
식이다. 여기에 현재 학습수준을 말로 풀어 첨가해야 한다. 예를 들면 ... 정도는 희망 진로와 관련된 분야 책을 쓰고 그 분야의 멘토로 삼을 만한
사람
의 책도 1~2권 쓰면 도움이 된다.교내에서 과학반활동을 했다면 실험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밑, m의 위치에 들어가는 숫자나 문자를 지수라고 한다.특히 10진법을
쓰는
사람
에게 매우 큰 수나 작은 수는 밑을 10으로 해서 나타내면 매우 편리하다. ‘태양의 지름은 1.392×106km이다’‘감마선의 파장은 1×10-10m보다 짧다 ‘산소의 분자량이 32라는 것은 산소 32g에 6×1023개의 산소 분자가 포함돼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