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술
기입
d라이브러리
"
작성
"(으)로 총 1,67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자신의 '적' 으로 규정하고 그를 철저히 파괴하고자 했다.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직접
작성
한 보고서를 위원회 이름으로 발간했으며, 관례상 비밀로 처리돼야 할 내용을 대중잡지에 투고하기도 했다. 이런 분위기에서 왕립학회 위원회가 라이프니츠에게 표절 판결을 내린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 ...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보관하고 있다가 그중 임의의 문제들을 골라서 시험 문제지를
작성
해주는 것이다. 이는 문제중 일부 내용을 바꾸거나 문제의 난이도를 조정해주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런 종류의 시험 문제 출제 프로그램은 그 특성상 수학이나 과학 분야갸 가장 많다. 하지만 ... ...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라는 2개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애프터버너는 매크로미디어 디렉터로
작성
된 컨텐트-디렉터 무비(Director Movie)라고 불린다-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최적화돼 있고, 이것을 전송받으면 애프터버너가 후처리기 역할을 해 하나의 완전한 디렉터 무비로 전환시켜준다. 따라서 얼마되지 않는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결국 벨이 곧 전화를 발명한다는 소식을 듣고서야 부랴부랴 자신의 아이디어를 서류로
작성
, 특허청에 특허정지신청을 냈다. 아이디어의 우선권을 인정받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그때는 이미 벨이 전화 특허신청을 낸지 1시간 후였다.(그림)이 사건은 발명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논쟁으로 번질만한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나온 것은 아니지만 발표할 가치가 있다고 했다. 이 때 밴팅의 제의로 매클로드는 초록을
작성
했고 자연스럽게 매클로드의 이름이 발표논문에 들어가게 됐다. 뉴헤븐학회에서의 발표를 계기로 인슐린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고조됐다.이런 중에 임상실험이 진행됐다. 1922년 1월 11일 밴팅과 베스트가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관측자들은 빔이 먼지구름 안쪽 벽을 깍아내서 구멍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시나리오를
작성
했다. 또 제트가 주변 물질에 반사돼 빛을 낼지 모른다는 시나리오도 배제하지 않았다.두 시나리오는 고속으로 빔(혹은 제트)을 분출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빔과 먼지덩어리가 어떻게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인간으로, 원숭이는 원숭이로 태어난다.앞으로 인간게놈지도, 뇌기능과 뇌지도가 완벽히
작성
된다면 인간의 뇌와 아주 닮은 컴퓨터나 인조인간의 제조가 가능할지 모른다.과학의 발전으로 생물학적 결정론(환원론)은 점점 더 큰 힘을 얻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인간은 환경적(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공존하는 상태에서는 두가지 코드를 모두 지원하거나 둘 중 하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작성
해야 한다. 이에 따라 능력있는 프로그래머들이 조합형·완성형 에뮬레이터나 코드변환기를 만드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의미없는 일에 노력을 허비하는 꼴이다.운영체제가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기울였다. 무엇을 물어보는지 모르는 숙제를 받아들고 숱한 밤을 새우며 보고서를
작성
했던 일은, 지식을 쌓는 측면 외에도 무슨 일이든 도전하면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쌓는 과정이었다. 그리고 이 정신이 지금도 그의 삶을 지탱시키고 있다.이충화 대우정보시스템이사 세계로 달리는 ... ...
2. 공통과학 성공의 조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탐구학습을 할 수 있는 분위기라고 생각하기 힘들다.이와 관련해 오금고 구수길 교사가
작성
한 석사논문이 눈길을 끈다. 구수길교사에 따르면 전국 4백95명의 과학교사들을 설문조사한 결과 47.1%의 교사가 공통과학이 현재와 미래를 고려한 아주 합당한 과목이며 꼭 필요한 과목이라고 한다. 반면 50.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