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스페셜
"
최초
"(으)로 총 1,51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의 구조와 진화 과정 계산하는 물리우주론, 노벨상을 거머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우주 팽창 아이디어 제시 빅뱅이론에 따르면 지금으로부터 약 140억 년 전
최초
의 우주는 매우 뜨겁고 밀도가 높았다. 이후 우주는 점점 팽창하면서 식어갔다. 빅뱅이 일어난 지 약 40만 년 뒤에는 우주가 약 3000K 만큼 식고 투명해졌다. 그리고 여러가지 빛과 방사선들이 우주 공간을 여행할 수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순서에 따라 알파벳 소문자를 붙여 표시한다. 마요르 교수와 쿠엘로 교수가 1995년 세계
최초
로 발견한 외계행성은 페가수스자리 51번 별에서 발견돼 ‘페가수스자리 51 b’라는 이름이 붙었다. 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은 크게 행성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는 방법과 행성이 공전할 때 지구와의 거리가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대한 아이디어의 기초가 됐다. 빅뱅 모델은 140억년 전 매우 뜨겁고 밀도가 높았던
최초
의 우주를 설명한다. 빅뱅이 일어난 그 이후 우주는 확장되어 점점 더 추워졌다. 빅뱅 이후 약 40만년이 지나고 우주는 X선이나 자외선 같은 광선이 떠돌아다닐 수 있는 곳이 됐다. 심지어 오늘날에도 이 고대 ... ...
노벨물리학상에 빅뱅이론 뒷받침한 이론가·외계행성 발견한 과학자들(종합)
2019.10.08
쿠엘로 교수는 1995년 10월 처음으로 태양계 바깥의 외계행성 ‘51Pegase b’을
최초
로 발견하며 행성이 형성되는 과정과 진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기여했다. 두 사람의 발견 이전까지만 해도 외계 행성은 지구보다 질량이 318배 정도로 훨씬 무거운 목성과 유사한 행성이 발견되는 데 그쳤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산소 감지하는 세포 '분자스위치' 암 치료 새 장 열다
2019.10.08
감지하는 것은 무엇인지 의문이 생긴다. 서멘자 교수와 랫클리프 교수는 이 비밀을 푼
최초
의 과학자이다. 그들은 저산소에 반응하면 EPO의 유전자 발현이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특히 서멘자 교수는 EPO 유전자에서 전령RNA(mRNA) 생산 위치를 알려주는 부위인 프로모터에서 저산소 반응 ... ...
Wnt·자가면역질환·광유전학·HGP 등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누가 받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가치 있는 연구로 항암 치료 분야를 꼽는다. 생리의학 분야 연구자들은 세계
최초
표적항암제인 '글리벡'을 개발한 브라이언 드러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교수와 '허셉틴'을 개발한 데니스 슬라몬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대(UCLA) 교수, 유방암과 난소암 발생에 관여하는 브라카 유전자 ... ...
박수만 쳐야하는 ‘노벨상 시즌’ 돌아왔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올랐다. 최근 중력파 관측 등 천체물리에서 수상자가 다수 나왔지만 올해 4월 인류
최초
로 블랙홀의 그림자를 촬영한 과학적 시도도 충분히 수상 물망에 오를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화학에서는 최근 초강세를 보인 생화학 분야가 올해도 수상자를 배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클래리베이트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파도바 대학의 의대교수였던 베살리우스가 《인체해부에 대하여》를 출판했다. 이 책은
최초
의 인체해부학 서적으로 평가받을 만큼 중요한 서적이다. 봄이 오면 어느 순간 곳곳에서 온갖 꽃들이 피기 시작한다는 말이 여기에도 적용되는 모양이다. 《천구회전에 관하여》의 ‘회전’에 해당하는 ... ...
눈앞에 다가온 2019 국감...어떤 이슈 주목 받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9.29
편법 지원 의혹 역시 1년이 다 돼 가는 현재까지도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올해 세계
최초
로 상용화한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은 서비스에 대한 질의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개통은 했지만 쓸만한 킬러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자율주행 등 산업적 파급력이 큰 연계 분야 ... ...
일본이 시작은 했지만…"한국産 줄기세포 치료제 속속 출격 준비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중이다. 또 다른 교토대 연구팀은 iPSc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전구세포를 만들어 세계
최초
로 파킨슨병 환자에게 이식하는 임상시험 진행하고 있다. 문제는 iPSc가 배아줄기세포처럼 거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전분화능)을 가진 만큼 암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야마나카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