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서리"(으)로 총 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08
- 펼쳐 나타내었을 때, 다음 그림과 같이 AB, AC, BC, BD, CD, DE, EF, EG, FG, FH, GH, AH의 12개의 모서리를 갖는 (굳이 볼록일 필요는 없는) 다면체가 존재하는가? 이런 다면체가 잘 없을 것 같은 느낌이 들겠지만, 실례가 없음을 증명하는 것보다는 희귀하더라도 실례 하나를 찾아내는 것이 훨씬 쉬운 풀이가 되기 . ...
- 직장을 넘보는 암과학동아 l201108
- 부서져서 만들어진 미세먼지다. 모래의 주재료인 규산의 분자 구조가 결정형을 이뤄 모서리가 날카로운 형태를 띠기 때문에 몸 안에 들어가면 치명적이다. 폐에 돌가루가 쌓여서 생기는 규폐증이나 기관지염의 원인이며 폐암 발생률도 높인다.결정형 유리규산은 모래로 금속을 매끄럽게 가는 연마 ...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과학동아 l201108
- 질병 예방을 위한 약 복용으로 인식이 바뀌기 시작한 때도 이쯤이다. 가정의 식탁 모서리에 드디어 알약 형태의 비타민제가 얼굴을 내민 것이다.개별 비타민이 먹기 편한 형태로 생산되자, 비타민 각각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당시는 임상 연구에 대한 규정이 지금처럼 ...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수학동아 l201107
- 플라토가 알려준 대로 세 개의 비눗방울이 만날 때 세 모서리가 정확히 120°로 만나고, 네 모서리가 만날 때는 109.5°로 만난다는 사실 일부를 증명한 것이다.2개의 비눗방울이 플라토가 발견한 대로 존재한다는 것도 최근에야 수학적으로 증명됐다. 하지만 3개의 비눗방울이 플라토의 관찰대로만 ...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수학동아 l201107
- m를 세제곱한 것도 쓸 수 있지만 간편하게 나타내기 위해 리터 L를 사용합니다. 1L는 한 모서리의 길이가 10cm인 정육면체 용기에 액체가 가득 찼을 때 액체의 부피를 말합니다. 물론 안치수로요. 그러면 1L=10cm×10cm×10cm=1000㎤가 되지요.다시 말하면 ‘들이’는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생긴 ...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과학동아 l201106
- 전해져 오히려 더 크게 다칠 것이다.전문가들은 차와 차, 차와 장애물, 차와 장애물 모서리(차가 회전하면서 충돌) 등 다양한 교통사고 데이터를 수집한 다음, 슬레드 시스템에서 재현시키면서 안전띠의 성능을 검사한다. 슬레드(sled)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레일 위에 차를 썰매처럼 깔아놓은 ... ...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과학동아 l201105
- 조금 띄어서 놓는다).③ 앞에서 잰 길이만큼 납작한 나무도막의 밑면에 표시한다.④ 책상 모서리에 수직으로 표시한 길이만큼 위로 나오도록 나무도막을 붙인다(테이프로 붙인다).⑤ 추와 종이테이프를 스카치테이프로 잇는다.⑥ 종이테이프를 시간기록계에 건다.⑦ 시간기록계를 작동시키고 난 뒤, ...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과학동아 l201104
- 두개골에 난 상처의 함몰정도와 크기 등을 마이크로 3차원 스캐너로 분석해 둔기가 벽돌 모서리임을 밝혔다.]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면 피해자를 때린 둔기를 알아내거나 교통사고도 재구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 3차원 스캐너는 상처의 특징을 분석한다. 즉 근육이나 뼈가 함몰된 정도와 크기, ... ...
- 말썽꾸러기 조카 '지지리 마란드러'어린이과학동아 l201103
- 꼭짓점으로 사용하면 된다. 그러면 모서리로 쓸 빨대는 몇 개가 필요할까? 축구공의 모서리 갯수를 세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킹왕짱 방학숙제 종결자캐나다 몬트리올 현장교육부터 노벨상 수상자 인터뷰까지, 방학숙제를 완벽하게 해낸 지지리 마란드러가 신났다. 지금까지 했던 숙제 중에서 가장 ... ...
- [수학실험실] 피보나치 계단 위에서 본 나선수학동아 l201103
- 한 모서리의 길이가 5인 정육면체와 모서리의 길이가 (2, 3, 5)인 직육면체를 결합하면 모서리의 길이가 (5, 5, 8)인 직육면체가 된다. 식으로 나타내면 13+13+23+35+53+(1×1×2)+(1×2×3)+(2×3×5)=5×5×8이다. 이처럼 피보나치 정육면체와 피보나치 직육면체를 이용해 커다란 직육면체를 만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