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꼬락
새끼발가락
새끼
쌔끼
발끝
d라이브러리
"
발가락
"(으)로 총 243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12
촉진하는 단백질에 달라붙어 그 기능을 억제한다. 그 결과 혈관이 생기지 않아 손가락,
발가락
이 없는 기형아가 태어난다.1962년 판매가 금지된 탈리도마이드는 1998년 한센병 합병증 치료제로 사용이 허가됐다. 물론 임산부에만 부작용이 있다지만 혹시 모르므로, 탈리도마이드를 만들 때 거울분자를 ... ...
사막이라도 괜찮아~! 낙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2
마셔도 끄떡없거든요.모래에 빠지지 않는 두 개의
발가락
낙타의
발가락
은 두 개! 두 개의
발가락
은 아주 두툼하고 큰데다 마치 작은 방석처럼 부드럽고 넓적해서 사막의 모래에도 빠지지 않아요. 게다가 어떤 포유류보다도 튼튼한 다리를 갖고 있어서 오래 걸어도 쉽게 지치지 않는답니다. 비결 ... ...
사칙연산에 새겨진 영어
수학동아
l
200911
영어로는 1-digit number라고 한다. n 자릿수는 n-digit number다. 원래 digit의 의미는 손가락,
발가락
을 뜻했지만 옛날부터 10 이하의 수는 손가락을 이용해 계산했던 관계로 수학적 의미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이번에는 뺄셈의 영어단어는 무엇이고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자. subtraction은 ‘아래’를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10
국제학술지 ‘커런트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이 화석은 익룡 앞발의 네 번째
발가락
중 첫 번째 마디가 분명하고, 뼈의 형태와 크기로 볼 때 백악기 초기에 중국에서 번성했던 쭝가리테립스(Dsungaripterus)일 가능성이 높다. 이 익룡은 양 날개를 편 길이가 3~4m에 이르며, 주로 어패류나 물고기를 ... ...
품위 있게 죽을 권리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908
긁었다. 이때
발가락
들이 부챗살처럼 쫙 펴지면 뇌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김 할머니의
발가락
은 확실히 펴지진 않았지만 분명 위로 움직였다.첫 만남 뒤 한 달이 지났다. 세브란스병원 15층 내과 병동 1인실. 21.4m2(6.5평)의 작은 공간에서 인공호흡기를 뗀 지 1시간이 지난 김 할머니를 만났다. ... ...
공룡 앞발이 새 날개 된 증거 찾았다
과학동아
l
200907
증거가 될 수 없었다.쥬 박사는 “리무사우루스의 앞
발가락
은 새의 날개 뼈처럼 1, 5번째
발가락
이 퇴화하고 2, 3, 4번째가 남아 있었다”며 “수각아목 공룡에서 새로 진화하는 과정의 중간 단계 화석을 찾은 셈”이라고 밝혔다 ... ...
출동! 동물흔적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5
내려앉는 습성을 가진 꿩이나 두루미의 발자국이야. 그리고 앞
발가락
3개와 뒤로 뻗은
발가락
까지 찍힌 발자국은 까치나 백로처럼 나무에 앉거나 둥지를 만드는 새의 발자국이고. 이처럼 습성이 각자 다르기 때문에 발자국도 다르단다.더 나아가 발자국으로 동물의 행동도 파악할수 있어. 새의 경우 ... ...
고릴라와 함께한 영장류 진화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3
영장류는 6500만 년 전 처음으로 등장했다. 오늘날의 고양이만 한 크기로,
발가락
에 고양이와 같은 발톱이 달려 있는 등 아직 영장류의 특징이 별로 나타나지는 않았다.곤충 먹는 포유류(식충류)잘람브달레스테스나무 위에 살며 종종걸음으로 이동한다. 눈이 옆을 향해 있고 주로 벌레를 잡아먹고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02
조절유전자를 꺼내 염색 단백질에 붙여 생쥐에 넣자 연골세포에서 발현됐다(➌). 앞
발가락
의 단면(아래)을 보면 가운데 뼈 조직에서만 염색 단백질이 발현함을 알 수 있다(➍).이들의 전략은 성공을 거둬 마침내 새끼들이 태어났죠. 그런데 어떻게 뇌세포에서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연구자들은 ... ...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에서 최초로 위석(胃石) 발견
과학동아
l
200901
탐사 마지막 날 오후 필자는 부긴자프 서쪽 계곡에서 타르보사우루스와 마주했다.
발가락
뼈와 다리뼈가 지층 속으로 계속 연결돼 있는 점으로 보아 혹시 완전한 타르보사우루스가 묻혀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감이 들었다. 아쉬움을 달래며 3차 탐사를 끝내고 돌아왔지만 내 마음은 벌써 올여름 4차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