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포
대포
포상부
베란다
조랑말
포엽
화포
d라이브러리
"
포
"(으)로 총 39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06
만나는 타구점의 위치를 적절히 결정해야 한다.이 때 타구점이 높아질수록 더욱 볼록한
포
물선을 그리게 된다. 그러면 공은 높이 뜨고, 예상 낙하지점를 벗어날 확률이 높다. 또한 상대적으로 상대 선수는 공을 치기 쉬워진다. 공이 공중에 오래 떠있을수록 공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는 시간을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05
물론 길이로 치면 더 긴 곤충도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에서 발견된
포
바에티쿠스 차니(Phobaeticus chani)라는 대벌레는 다리를 뺀 몸길이가 35cm로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입니다. 마지막으로 날아다니는 곤충 중에서 큰 친구들을 소개하겠습니다. 남아메리카에 사는 티사니아 아그리피나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05
따라서 아토피나 염증성장질환 같은 과민 면역반응으로 인한 염증 부위에 조절T세
포
가 작용하면 염증반응이 억제되면서 증상이 완화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몸은 왜 스스로 균형 있는 면역계를 구축하지 못하고 장내미생물의 힘을 빌리는 걸까.위생가설 입증하는 실험 속속 발표돼1989년 영국 ... ...
4화 위기일발! 폴의 추락
수학동아
l
201204
없었다. 엉거주춤한 자세로 엉금엉금 기어가다 보니 폴리스와 거리가 점점 벌어졌다.“
포
…, 폴리스! 제발 천천히 좀 가.”폴리스는 뒤돌아 폴을 흘끗 바라보더니 이내 빠르게 그물 위를 나아가며 말했다.“서둘러 그물을 벗어나야 할 것 같아. 그물에서 우리 말고 다른 진동이 느껴져.”폴리스의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04
철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리벳에 책임을 돌리는 의견도 있다. 제니퍼 후퍼 매카티와 팀
포
이크라는 두 재료공학자는 2008년 빙산이 외벽을 스치면서 리벳이 떨어져나와 물이 들어갈 수 있는 틈이 생겼다는 내용이 담긴 책을 냈다. 이들은 수십 년 동안 바닷속에 있던 철판을 관찰해보면 갈라지거나 ... ...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
수학동아
l
201203
듯이 폴을 보며 말했다.“오히려 그 반대 아니야? 예전에는 머리를 너무 안 써서 뇌세
포
가 다 퇴화했겠다. 지금은 머리를 자꾸 써서 뇌 신경이 살아나고 있을걸?”“그냥 말이 그렇다는 거지. 뭘 그렇게 따지냐?”폴과 폴리스가 아웅다웅 하며 식사를 마칠 때쯤 모일러가 다시 식당으로 들어오며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02
염소를 사용한다. 그 대신 서울시에서는 잔류염소 4.0mg/L, 총트리할로메탄 0.1mg/L, 클로로
포
름 0.08mg/L처럼 수질기준을 정해놓았다. 서울시는 “이 기준을 넘지 않는 물은 하루에 2L씩 70년간 마셔도 해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스위스는 가정집마다 하수 처리 시스템을 도입해 ‘버리는 물’마저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02
인식하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면역강화제를 넣는데 면역계가 강화되면서 정상세
포
나 조직을 공격하는 자기면역강화의 부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하지만 희망은 있다. 지난해 전립선암 치료백신인 ‘프로벤지(Provenge)’가 FDA의 최초 승인을 받았다. 2013년 치료백신으로는 처음으로 유럽에 ... ...
포
개기의 달인 '아네 또인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6
놓여 있다. 접는 방식이 다른 물건은 과연 무엇일까?쭉쭉 펴는 발명품“마트료시카처럼
포
개는 방법으로 발명품을 만드는 게 방학숙제라고? 뭐 보아하니 큰 놈이나 작은 놈이나 머리는 안 좋게 생겼구먼. 내가 좀 도와 줘야겠네?”썰렁홈즈와 지지리 마란드러는 기분이 좀 상했지만 사실 다른 방법이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11
있던 청동을 벗겨내 콘스탄티노플로 가져갔고, 17세기에는 교황이 현관의 청동을 녹여 대
포
를 만드는 데 사용했다. 그 와중에 겨우 건물 자체를 유지했던 것이다. 이 밖에도 유명한 돔 건물에는 르네상스 시대에 지어진 피렌체 두오모의 돔과, 푸코의 진자로 유명한 파리 팡테옹의 돔이 있는데, 모두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