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측량
계측
측정법
측량법
구적법
검량
d라이브러리
"
계량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토종개, 아키타 개, 잉글리시 십독, 그레이트 덴에 대한 형태적인 비교 연구가 있었는데
계량
형질의 10가지 특성을 조사, 품종별 요인분석, 체량 형질간의 상관계수 분석, 집괴분석 등을 시도했다.결과적으로 삽살개는 다른 한국개 및 외국개 품종들과 주성분 분석에서 잘 분리됐다. 이같은 결론은 ... ...
물리- 전하량은 항상 보존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굵은 전선을 써야 한다.각 가정에서 쓰는 전기는 전기
계량
기에 의해 측정되고 물은 수도
계량
기에 의해 매월 측정되어 요금은 은행에 지로로 납부한다. 전류가 발전기에서 오는 것처럼 큰 물은 댐이나 수원지에서 보내지며 작은 규모의 물은 각각의 건물 옥상에 있는 물탱크에서 보내진다.우리가 ... ...
원자력·의약품 분야에서 단연 선두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많다.화학공업 산업기계 원자력에서 우위일반적으로 기술 수준을 수치로 나타내는
계량
화 작업은 힘든 일이고 또한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일이기는 하지만, 유럽의 경쟁자인 미국 일본과의 기술활동실적(performance)을 비교해봄으로써 유럽의 과학기술 수준을 상대적으로 파악해볼 수 있다. 유럽 미국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살아 남았다. 비슷한 관찰은 유럽에서도 이루어졌다. 지의류는 공기의 질의 민감한
계량
기다.오염이 증가하면 언제나 지의류는 말라죽는다. 흡수한 빗물과 먼지로부터 지의류는 중금속과 오염물질을 체내에 축적한다. 매연이 나오는 공장주변의 지의류를 화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혹은 지의류의 ... ...
「과학입국」 초석을 다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유교의 관념적인 사상이 팽배해 있는 우리나라는
계량
적이고 실천적인 것을 중요시하는 과학기술이 자라나기에는 이주 빈약한 토양이었다. 더구나 이러한 풍토조성은 한두사람의 학자로 되는 것이 아니라 전국민이 과학을 이해하고 기술을 존중하는 사회가 ... ...
대덕연구학원도시 구상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살릴 형편이 못되어 송인상 회장(전 재무부장관)이 운영하고 있던 연구소에서
계량
경제에 관한 일을 하고 있었다. 두뇌가 뛰어나고 수학적 소양도 충분하였기 때문에 그런 일을 쉽게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나는 컴퓨터 전문가는 수학적인 두뇌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성박사가 적격이라고 ... ...
4. 핵사찰 허점 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변화해도 질량보존의 법칙에 따라 절대량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그 절대량 자체를 주로
계량
하게 된다. 또 한가지 더욱 강화된 사찰형태로서 현재 이라크가 받고 있는 특별사찰이라는 것이 있다. 이는 앞에서 말한 사찰만으로는 의심가는 부분을 명백히 규명할 수 없을 경우에 이뤄지는 사찰을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약 5홉 5작쯤 된다.각 가정의 상수도
계량
기는 입방미터(㎥) 단위로 물의 사용량을
계량
하도록 표기되어 있고 다달이 징수하고 있는 상수도 및 하수도 사용료도 용적의 단위로 부과하고 있다. 그런데도 상수도 시설 계획에서 급수용량 ○○t이라고 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표현이다.■'굴삭기'는 ... ...
「회전해도 무게 줄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무게는 변하지 않았다.한편 일본에서 무게 측정의 표준을 담당하고 있는 공업기술원
계량
연구소에서는 '하야사카 효과'를 검증해내기 위해 팀을 구성했다. 이 팀에서는 금년 3월 미국 팔러 팀의 발표가 있은 직후 하야사카를 직접 면담하고 하야사카 실험과 완벽하게 똑같은 조건을 만들고 똑같은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민속학자라서, 과학자는 현대과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아무도 이런 상황을
계량
적으로 분석, 재구성해 보는 일을 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작업의 결과 못지 않게 그 과정도 중요시해야 한다. 과학기술사는 역사다. 역사는 과정의 기록에서 출발한다. 과학적인 분석과 실험적인 접근은 그래서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