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듈"(으)로 총 3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00m 높이의 전국경제인연합회 건물(서울 여의도 소재)은 벽, 발코니, 창문 등 외장재를 BIPV 모듈로 제작한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이 시간당 최고 728kW다(40쪽 사진 1). 앞으로는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불투명한 군청색 태양전지가 아닌, 투명하면서 다양한 색을 가진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것은 그만큼 쓰임새가 넓어졌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형광현미경 한 쪽에 레이저 모듈만 달면 다른 고정 장치 없이도 작은 시료를 원하는 시간 동안 자세히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애슈킨 연구원은 이를 이용해 적혈구와 바이러스, 박테리아를 포획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 결과를 1986년과 1987년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조립되는 방식으로 건설됐다. 1998년 러시아의 ‘자랴’ 모듈과 NASA의 ‘유니티’ 모듈의 도킹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136회의 비행을 통해 ISS가 완공됐다. ISS는 태양전지판의 끝에서 끝까지 폭 108.5m에 길이는 72.8m로, 인류가 지금까지 우주에 건설한 가장 큰 우주 구조물이다. 우주비행사가 최대 6명이 ... ...
- [서울대 건축학과] 세상을 담는 공학, 건축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건축물의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동시에 사전에 3차원(3D)으로도 볼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해 외국에 수출도 했다.건축학과는 외국 대학과의 교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건축 분야는 국제적 활동이 많고, 예술적인 요소가 많이 가미되는 만큼 세계적인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 ...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2.9V를 넘기는 데 성공했다. 학생들 사이에서 기쁨의 환호성이 터졌다.이번에는 태양전지 모듈의 효율을 측정했다. 햇빛과 거의 비슷한 에너지(약 100mW/cm2)를 내는 ‘솔라 시뮬레이터’가 사용됐다. 전압 약 3.5V, 전류는 45밀리암페어(mA)로 나타났다. 광효율은 약 8%였다. 실제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약 2 ... ...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찍어냈다. 이때 물리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져 세포가 죽지 않도록 프린팅하는 헤드 모듈을 개발하고, 귀의 형태를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바이오 잉크에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추가했다. 그리고는 생쥐에게 이식했다. 2개월 뒤 이식한 귀는 연골 조직이 모두 정상이었다. 주변에는 혈관도 새로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IF방식으로 다시 한 번 가속하는 데 쓰인다. 희귀동위원소 빔은 180m 길이의 SCL2에서 48개의 모듈에 담긴 219개의 가속관을 한 번 더 통과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18.5MeV의 운동에너지는 200MeV까지 높아진다. SCL2에서 가속된 빔은 중간에너지 핵과학 실험에 사용된다. 중성자 과잉 희귀동위원소 핵을 ...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가속기 핵심 장치인 ‘초전도 가속 모듈’을 개발해 성능 시험까지 마쳤다. 초전도 가속 모듈은 올해 양산에 돌입해 22개를 만들고,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설치에 들어갈 예정이다. 권 연구위원은 “2020년이면 우라늄238을 기준으로 4403MeV(메가전자볼트)의 낮은 에너지 영역에서는 일차적으로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세포 시스템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이를 위해 공학에 적용되는 부품화, 표준화, 모듈화의 개념이 생물학에 도입됐고, 바로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이라는 학문이 정립됐습니다. 합성생물학에서는 DNA를 컴퓨터의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대합니다. 0과 1로 이뤄지는 이진코드(binary code) 대신,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SCD)’를 ISS로 보냈다. ISS에 탑재된 첫 한국산 대형 실험 기기로 로봇팔을 통해 ISS의 외부 모듈에 장착됐다. SCD는 ISS에서 진행 중인 ‘크림(CREAM)’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우주에서 지구로 들어오는 고에너지 입자인 우주선(線)의 성분 분석 역할을 맡는다. 현재 ISS에서 검출한 일부 신호를 지상으로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