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흔적
발자국
자취
종적
발자욱
행방
d라이브러리
"
발자취
"(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소피아 안티폴리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지중해성 기후다.사시사철 꽃이 피는 이곳은 유사이래 그리스 로마 등의 문명의
발자취
가 아직 남아 있는 곳이며, 화가 음악가 문인 등 예술가들이 활동하던 무대로 그들의 유품이 곳곳에 보존되어 있다. 인근의 휴양문화도시 칸과 니스까지는 자동차로 3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으며 니스에는 ... ...
PART Ⅰ 인공지능연구,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통해 얻은 이익이 많다고 판단된다. 비전공자가 주체로인공지능이 걸어온 지난 30년간의
발자취
를 돌아보면, 놀라울 정도로 발전을 거듭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은 인공지능에 대해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그들은 인간과 같은 지능이 있는 컴퓨터의 구현은 불가능하다고 ... ...
신은 주사위놀이를 좋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그 참모습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플랑크상수가 뜻하는 것현대물리학에서 양자론의
발자취
를 빼면 연구다운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양자론은 물리학 가운데 확고부동한 자취를 남기고 있다. 양자론의 영향을 받지 않은 현대물리학의 분야는 없는 것이다.양자론이 어떤 이론이며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곳인더스문명의 발상지로 널리 알려진 이 곳에는 1천3백년전 신라의 고승 혜초(慧超)의
발자취
가 남아 있다. 비록 이 유적지를 방문했다는 구체적인 기록은 없지만 그의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에 따르면 혜초는 분명히 이 일대를 다녀갔을 것으로 믿어진다.모헨조다로 도시유적은 북위 27°19' ... ...
천문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있는 이 천문시계의 학문적 이름이 정착되기까지의 사연은 마치 우리의 전통과학이 겪은
발자취
를 압축한 것과도 같다.그만큼 어려웠다는 얘기다.●―임진란 후 일시 끊겨'세종실록' 제 60권, 세종15년(1433년) 6월초 9일의 기사를 인용해 본다.정초(鄭招) 박연(朴堧) 김진(金鎭)등이 새로 만든 혼천의 ... ...
석유·천연가스 등 자원과 군사적필요에 의한 새로운 관심 북극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의해 이루어졌지만 정부에서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왜냐하면 새로운 세계의
발자취
를 남기는 일은 개인의 영광이기도 하지만 국가의 명예에 관련된 일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해도 후진 농업국이었던 이 나라의 오늘의 있기까지 소련인들이 걸어왔던 과학적
발자취
는 그라쳬프를 위시한 수많은 과학자들의 용맹과 연구정신, 시베리아 개척을 필두로 한 연구노력 바로 그 자체가 이루어 놓은 것이리라.아직도 제대로 알려지지 못한 많은 부분이 오늘의 소련과학을 이루고 ... ...
PART2 바싹 다가선 하이테크 스포츠시대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그들은 얼어붙는 듯한 추위에서도 빙하의 긴 여행을 견디어 냈다. 또 열대 정글에 인간의
발자취
를 남기기 위하여 폭염과 온갖 질병에 맞서 싸웠다. 이같은 도전을 통해 인간은 자기의 한계를 계속해서 넓혀갔다. 새 기록을 세우기 위해 끊임없이 추구해 나간 것이다. 이는 스포츠분야에서도 ... ...
대형의 아동과학전집류 붐 이뤄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맺는 과학전집으로 과학라이브러리 보다 2권이 많은 총 60권짜리 대형전집이다.'공룡의
발자취
' '코끼리의 세계' '두루미의 한해' '수세미 관찰' '달팽이의 비밀' '소금의 수수께끼' '행성탐험' '사막의 세계' 등 주로 동식물 세계의 여러가지 현상과 자연계의 이모저모를 보여주는 내용들로 구성돼 ... ...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재려는 인류의 노력은 어떤
발자취
를 남겼을까. 이번 호에는 그 전반부로 해시계에서 기계시계까지를 알아본다.오늘 지구상에 있는 모든 시계가 갑자기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다면 어떻게 될까? 시간이 정해준 공통된 규율 속에서 움직이고 있는 거대한 조직체인 현대사회는 갑자기 혼란에 빠지고,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