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재"(으)로 총 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손난로 유니버스, 최강자를 가려보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할 숯 조각 5g, 소금 5g, 물 3mL, 그리고 부직포 주머니를 준비해 주세요. 질석은 원예 자재로 팔고 있다고 하는데, 기자는 구하지 못했으니 패스합니다(털썩). 제작 과정은 쉽습니다. 다 섞으면 됩니다! 부직포 주머니 안에 재료를 다 넣고 흔들어 보세요. 과학동아가 실험해 봤을 때는 3분 만에 46.5℃, 1 ...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있다. 나는 일주일에 한 번 장을 보는데, 집 근처에 있는 슈퍼마켓이 아닌 조금 먼 식자재 마트에 간다. 이곳에서 고기를 덩어리째 사서 집에서 잘라 먹는다.책과 게임을 구매할 때도 돈이 든다. 유학 초반에는 학생 할인이 되는 콘서트를 보러 가거나, 도쿄 아키하바라로 애니메이션 관련 굿즈(상품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있던 화학물질이 섞이며 빛을 내게 되는데요. 야광봉의 숨은 과학 원리부터 이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는 기술(!)까지 탄탄하게 준비했습니다. 화학 공부와 재미, 모두 누리고 싶은 독자에게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귀여움이란 것이 폭발한다! 대세 게임 ‘폴 가이즈’ 재미 비결은?(40p ...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몇 도의 각으로 날려야 가장 잘 튕길지 예상하기가 어려웠습니다.그래서 입사각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기계를 설계했습니다. 사람의 팔 동작을 생각하면서 말이죠. 사람이 돌을 던질 때 입사각에 영향을 끼치는 건 크게 세 개의 관절입니다. 팔 전체를 움직이는 어깨 관절, 아래 팔을 움직이는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3D 구조 재현 나노입자 연구단은 용액 상에서 합성된 백금(Pt) 나노입자가 자유자재로 회전하는 모습을 초당 400장의 속도로 촬영했다. 수천 장의 이미지가 나왔다. 연구단은 자체 개발한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해 이들 사진이 촬영된 방향을 추적하고 이 정보로 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 ...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그러다 보니 압력이나 열 등을 가하면 입자들이 쉽게 밀려난다. 이는 곧 형태가 자유자재로 변하는 액체의 물리적 특성으로 발현된다.고체와 액체의 관점에서 보자면 유리의 입자들은 액체와 같이 무질서하게 퍼져있다. 이론대로라면 유리의 형태는 물과 같이 그릇에 담는 대로 변해야 할 것만 ... ...
- [과학동아 X 긱블] 긱블의 네 번째 빅 프로젝트 로켓 발사 탱크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모든 하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약간 무겁지만 강도가 우수한 2.3T(티·1T는 두께가 1mm인 자재) 탄소강 각파이프를 사용할 겁니다. 그 외 골격은 하단 중앙부보다 하중을 적게 받기 때문에 비교적 얇고 가벼운 1.5T 탄소강 각파이프를 사용해 전체 무게를 줄였습니다.이 파이프들은 특수 용접인 아르곤 ... ...
- 푸드파이터의 폭식, 훈련하면 늘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경우도 있다. 또 호르몬이 변화하면서 포만감을 덜 느끼거나, 위의 팽창과 수축이 더 자유자재로 일어나기도 한다.스몰리가 교수는 이런 생리적 변화를 연구해 푸드파이터가 먹어치울 수 있는 핫도그의 최대 개수를 계산해냈다. 결과는 10분에 84개. 분당 832g을 섭취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회색곰(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아직 드라마 속에서 가능한 이야기다.‘AI가 인류를 지배하는 세상’도 AI가 감정을 자유자재로 표현할 때 가능하다. 2017년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tvN 예능프로그램 ‘알쓸신잡’에서 “AI가 인간을 지배하려면 AI 스스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오래 살고 싶다는 욕심이 있어야 ...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퀀텀닷을 활용한 디스플레이가 형태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단단한 금속도 나노미터 단위로 얇게 만들면 휠 수 있는 것처럼, TV 역시 얇으면 얇을수록 형태를 구부리거나 말 수 있다. 단, 그 정도로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